[디지털데일리 문대찬기자] 국내 게임업계를 대표하는 3N(넥슨·넷마블·엔씨소프트)의 2분기 실적 희비가 엇갈렸다. 넥슨과 넷마블은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하면서 시장 전망을 훌쩍 뛰어넘는 실적을 거둔 반면, 엔씨소프트(이하 엔씨) 적자를 가까스로 면하는 데 그쳤다.
8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넥슨은 지난 5월 중국에 출시한 ‘던전앤파이터모바일(이하 던파모)’ 흥행에 힘입어 2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거뒀다. 매출은 1조762억원, 영업이익 397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 64% 증가했다. 넥슨이 지난 1분기 실적 발표 당시 점친 2분기 매출은 매출 8213억원~9318억원, 영업이익은 1542억원~2465억원이다.
던파모바일이 중국에서 크게 흥행했고, ‘메이플스토리’와 ‘FC온라인’ 등 강력한 영향력을 보유한 IP가 2분기 약진한 것이 호실적 비결이다. 넥슨에 따르면 이들 게임 매출은 1년새 57%, 2분기 글로벌 매출 총합은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한 수준이다.
넷마블도 2분기 출시한 신작 3종에 힘입어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2분기 매출은 782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6% 증가했다. 영업익은 1112억원을 기록하면서 흑자 전환했다. 작년 4분기까지 7개 분기 연속 적자에 시달렸지만, 본격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지난 5월8일 출시한 ‘나혼자만레벨업: 어라이즈(이하 나혼렙)’ 흥행이 결정적이다. 동명의 인기 웹툰을 기반해 제작된 나혼렙은 2분기 게임 매출 비중의 20%(1위)를 차지했다. ‘잭팟월드(7%)’ ‘랏차슬롯6%’, ‘캐시프렌지6%)’ 등 소셜 카지노 게임도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넷마블은 마케팅비 비율과 지급수수료율을 개선하는 등 지난 2022년부터 지속해온 비용구조 개선 노력 또한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반면 엔씨는 2분기 매출 3689억원, 영업익 88억원으로 가까스로 적자를 면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 75% 급감한 수준이다.
주력 게임인 ‘리니지M’이 지난 분기 대비 반등에 성공했으나 ‘리니지W’ 등 리니지 관련 IP의 경쟁력 약화가 두드러졌다. 2분기 엔씨 모바일 게임 매출은 전분기 대비 13% 감소, 전년 동기 대비 26.4% 감소했다. 최근 출시한 ‘배틀크러쉬’의 저조한 흥행도 쓰라렸다.
한편 엔씨는 하반기 신작 ‘호연’을 출시하고 ‘TL’과 ‘블레이드앤소울2’의 글로벌 서비스를 시작하며 분위기 반전에 나설 계획이다. 내년엔 ‘아이온2’와 ‘LLL’ 등 대작 3종 출시도 예고돼있다.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한 외부 투자도 지속해 나갈 참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디어산업 진흥 ‘마지막 기회’…“‘청와대 미디어수석’ 신설해야”
2025-05-15 17:43:18[DD퇴근길] 테무 개보법 위반, 13억대 과징금 철퇴…"협조 불충분"
2025-05-15 17:28:05"AI 투자, 개별기업 감당 못해…정부 전략적 역할 필요"
2025-05-15 16:24:51넷플릭스 광고요금제 가입자, 9400만명 돌파…”콘텐츠 만큼이나 광고에 집중”
2025-05-15 15:35:102분이면 숏폼 영상 ‘뚝딱’…KT, AI로 콘텐츠 제작 밸류체인 혁신
2025-05-15 15:11:18[DD퇴근길] 테무 개보법 위반, 13억대 과징금 철퇴…"협조 불충분"
2025-05-15 17:28:05사내설명회 이유 있었나…이해진 최측근 최인혁, 네이버 복귀
2025-05-15 17:09:27K-엔터 4대장, 엇갈린 1분기 성적표…2분기 ‘호실적’ 기대감 고조
2025-05-15 16:29:34티캐스트 E채널 '류학생 어남선', 양방향 IP로 승부수 [일문일답]
2025-05-15 15:55:14카카오, ‘브랜드 메시지’ 출시…"스팸 가능성 원천 차단"
2025-05-15 14:5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