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국가전략 기술 예산이 총 5조원 규모로 최종 확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국회가 의결한 올해 예산안에서 0.3조원이 증액된 규모다.
올해 국가 주요 연구개발사업(이하 ‘주요R&D’) 예산은 그동안 R&D 분야에서 누적된 비효율을 과감히 걷어내는 한편, 세계최고 수준의 혁신적 연구개발에 집중투자하고 대한민국을 이끌 미래세대를 육성하는 방향으로 편성됐다.
특히 주요 R&D 예산은 우리나라의 기술독립과 주권 확립을 목적으로, 차세대 성장동력과 주력산업 분야의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전략기술에 중점 투자한다.
다만 전략기술에 해당하더라도 최근 소재‧부품‧장비, 감염병 등 단기적 이슈에 따라 대규모로 예산이 증가했거나, 집행이 부진한 경우 관행적으로 예산을 편성하는 대신 예산 소요를 검토해 효율화를 추진했다.
7대 국가전략기술에는 ▲반도체 6362억원(전년比 727억원↑) ▲AI(인공지능) 7772억원(721억원↑) ▲첨단바이오 9772억원(1484억원↑) ▲사이버보안 1904억원(251억원↑) ▲양자 1252억원(172억원↑) ▲이차전지 1364억원(250억원↑) ▲ 우주 8362억원(854억원↑)이 각각 투입된다.
주영창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투자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통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으로 인해 재정여건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세계적인 기술패권 경쟁 및 과학기술 정책의 안보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전략 기술에 대한 투자 확대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독] 정부, 올해 ‘양자 원격전송’ 50km 실험 나선다
2025-02-08 15:54:17[네트워크 통·장] 희비 엇갈린 장비업계…'RFHIC' 웃고 '오이솔루션' 울고
2025-02-08 10:27:44[DD퇴근길] 연매출 10조 시대 연 네이버, 성장 비결은 '클라우드'
2025-02-07 17:23:36KT스카이라이프, 지난해 영업손실 11억원 …"올해 영업익 개선 전망"
2025-02-07 11:23:01SKT·포스텍, AI로 스마트폰 안테나 전송 품질 성능 높인다
2025-02-06 18:07:21[LGU+컨콜] AI로 꿩먹고 알먹고…저수익 사업은 과감히 아웃(종합)
2025-02-06 17:34:21[DD퇴근길] 연매출 10조 시대 연 네이버, 성장 비결은 '클라우드'
2025-02-07 17:23:36"월 4000원의 행복"…티빙, '광고형 스탠다드' 연간이용권 출시
2025-02-07 15:53:56펍지 스튜디오 신작 ‘PUBG: 블라인드스팟’, 스팀에 체험판 공개
2025-02-07 15:32:27"시니어 사각지대 해소한다"…오른손케어, 돌봄 및 요양 서비스 제공
2025-02-07 14:43:56[IT클로즈업] 이젠 성우도 IP... ‘목소리’에 움직이는 게임시장
2025-02-07 13:58:56日 열도 휩쓴 네이버웹툰 ‘입학용병’, 도쿄서 첫 팝업
2025-02-07 13:5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