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형태는 사용자의 취향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니즈(Needs)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기술적 한계로 이러한 니즈를 그동안 채우지 못했다. 그러나 올해 삼성디스플레이가 '롤러블 플렉스(Rollable Flex)'가 개발, 최초 공개함으로 또 한번 시장 흐름 변화가 예상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디스플레이 위크 2023'에 참가해 다양한 차세대 제품을 전시했다. '디스플레이 위크'는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가 매년 북미지역에서 개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전문 행사로, 전시회를 비롯해 다양한 심포지엄 및 세미나가 열린다.
이곳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태블릿PC와 노트북의 휴대성을 높인 롤러블 플렉스, 지문 및 혈압 센서를 별도 모듈로 부착하지 않고 패널에 내장한 센서 OLED 디스플레이 등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특히 롤러블 플렉스는 특히 이목을 끌었다. 롤러블 플렉스는 화면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49mm에서 254.4mm까지 5배 이상 확장된다. 기존 폴더블 및 슬라이더블 폼팩터의 경우 확장성이 최대 2~3배이지만, 롤러블은 두루마리 휴지처럼 O자 형태 축에 디스플레이가 말렸다 풀렸다 할 수 있게 구현해 한계를 극복했다는 평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형태를 자신의 취향과 용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은 사이즈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처럼 휴대하고, 큰 사이즈로는 모니터나 TV처럼 사용할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안팎으로 모두 접을 수 있어 360도로 동작하는 새로운 폴더블폰 컨셉의 '플렉스 인앤아웃'도 선보였다. 안으로만 접을 수 있는 '인폴딩' 폼팩터는 접은 상태에서 정보를 확인하려면 별도의 외부 패널이 필요한데, 플랙스 인앤아웃은 이를 극복해 더 가볍고 얇은 폴더블폰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이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들고 다니기 힘든 대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를 롤러블로 구현해 휴대성을 끌어올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롤러블 플렉스는 디스플레이의 형태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어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음5G 현황下] 확산 한계치 도달?...“DX본격화 되면, 수요 급증” 전망도
2025-04-04 19:46:29법원, 방통위의 KBS 신임감사 집행정지 신청 ‘기각’
2025-04-04 19:41:00[윤석열 파면] 헌재 “야당의 방통위원장 탄핵소추, 계엄령 요건 될 수 없어”
2025-04-04 16:47:39SKT 유영상 “돈버는 AI 성과 본격화”…AI 성과 가시화 재차 강조
2025-04-04 10:44:29'尹 운명의 날'…통신3사, 탄핵선고 앞두고 총력 대비
2025-04-04 10:08:18[단독] 유료방송 위기여파 PP로…“콘텐츠 사용료 약 1200억원 감소 전망”
2025-04-03 17:44:35[윤석열 파면] "네이버·다음 프로필, 前 대통령"…페북·인스타 소개글은?
2025-04-04 18:23:30엔시티 위시, 엠넷플러스 '숨바꼭질' 두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4-04 17:44:41[DD퇴근길] 윤석열 대통령 파면…ICT·산업계 미칠 영향은?
2025-04-04 17:16:48[윤석열 파면] '탄핵 기념 정식' 인증샷 급증…中 포털서는 실시간 검색어 1위도
2025-04-04 16:49:16우아한형제들, 독일 모기업 DH 자사주 매입·소각…5372억원 지급
2025-04-04 16:48:46우아한형제들, 지난해 매출 4조원 벽 뚫었지만…무료배달 경쟁에 영업익 감소
2025-04-04 15:1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