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미국 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첨단제조생산 세액공제(AMPC) 잠정 가이던스를 발표한 가운데 우리 정부는 이차전지, 태양광 등 미국 내 제품 생산 시설을 구축한 우리 기업이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했다.
미국 재무부는 14일(현지시간) 인플레이션감축법(IRA)내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잠정 가이던스를 발표했다. AMPC는 미국 내에 첨단 제조 기술을 활용한 제품을 생산해 판매하는 경우 세액을 공제해 주는 제도다. 미국 내 첨단 제조 설비 투자를 유인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세부 지침에 따르면 세액공제는 2022년 12월 31일 이후 생산이 완료되고 판매된 제품에 적용한다. 이번 세액 공제 조항은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적용되며 대상 품목으로는 배터리 부품, 태양광·풍력발전 부품, 핵심 광물 등이 있다. 다만 배터리, 태양광, 풍력의 경우 2030년부터 세액 규모가 단계적으로 축소된다.
배터리의 경우 셀과 모듈은 킬로와트시(kWh)당 각각 35달러와 10달러의 세액이 공제된다. 태양광 모듈과 셀은 각각 와트(W)당 7센트와 4센트가 적용, 웨이퍼는 ㎥당 12달러, 폴리실리콘은 ㎏당 3달러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다.
풍력은 블레이드와 나셀은 와트당 각각 2센트와 5센트의 세액 공제를 적용하며 타워는 와트당 3센트의 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다. 핵심 광물은 인건비·전기요금·저장비용 등이 생산비용의 10%를 세액에서 공제받는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14일(현지시간) IRA에 따른 AMPC 집행과 관련해 대상 품목, 적용 상황 등 상세 내용을 담은 가이던스를 발표했다.
산업부는 이번 가이던스에 AMPC 대상 품목의 정의, 적용 상황 등에 관한 상세 내용이 포함돼 미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발표된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는 대상 품목의 정의, 적용되는 상황 등에 대한 상세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미국 내 첨단 제조 품목을 생산 중인 기업들의 세액공제 혜택 여부 규모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했다"라며 "특히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해 미국에 생산시설을 구축한 우리 배터리 기업 및 태양광·풍력 관련 기업들이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미 재무부는 이번 가이던스를 15일 게재하고 60일간 의견 수렴의 기간을 갖는다. 내년 2월22일 공청회도 예정돼 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고객신뢰 위원회’ 출범…소비자 보호∙권리 전문가 참여
2025-05-18 10:04:13LGU+, 스미싱·피싱 예방 체험형 행사 실시…“피싱·해킹 보험 제공”
2025-05-18 09:03:00KT, 소상공인서비스 가입자 확보 집중…다음달 30일까지 혜택 지급
2025-05-18 09:00:00“권력적 방송심의는 흉기…사업자 중심 자율심의가 시대정신”
2025-05-17 14:30:00[OTT레이더] ‘배구여제’ 김연경의 마지막 스파이크…생중계로 감상해볼까
2025-05-17 10:09:44과기정통부, 현대홈쇼핑·NS쇼핑 재승인 결정…2032년까지
2025-05-17 05:06:24이해진 네이버, 첫 해외 일정으로 실리콘밸리行…글로벌 AI 투자 본격 시동
2025-05-16 18:43:15"경찰도 전기자전거 구독"…스왑, 서울경찰청 시범 공급
2025-05-16 18:42:14NOL 인터파크투어, 항공권 취소·환불 수수료 무료 프로모션 진행
2025-05-16 17:32:09[DD퇴근길] "구글에 지도 반출하면 생태계 무너질 것"…스타트업, 한 목소리
2025-05-16 17:22:59아디다스 고객 정보 유출…"2024년 이전 고객센터 문의자 대상"
2025-05-16 17:22:14네이버, 디지털상공인 연합 기획전 진행…"소성공인과 동반 성장"
2025-05-16 16:5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