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권하영 기자] 윤석열 정부의 국가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의 여파가 학생 연구자에 대한 인건비 감소 및 지급 인원 축소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1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이정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생인건비통합관리기관' 중 대학과 4 대 과학기술원 등 교육기관 62곳의 올해 상반기(2023년1월~8월) 대비 하반기 (2023년9월~2024년2월) 학생인건비 예상 지급액 및 지급 인원 모두 감소 할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인건비' 제도는 학생 연구자의 인건비를 직접비 및 인건비와 별도로 분리하여 통합관리를 지정·허용하는 제도로, 국가 R&D 에 참여하는 학생 연구자에게 안정적으로 인건비를 지원함으로써 학업과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다.
특히, '학생인건비통합관리기관' 은 국가 R&D 과제의 학생인건비를 연구기관·연구책임자 단위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기관으로, 현재 교육기관은 대학·4 대 과학기술원 등 총 62 곳이 '학생인건비통합관리기관'으로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62곳 기관의 월평균 학생인건비 예상 지급액은 학사 기준 올해 상반기 약 77.9억원에서 하반기 69.8억원으로 8.1억원(-10.4%) 감소했고, 석사 는 약 293억원에서 278억원으로 14.7억원 (-5.0%) 감소, 박사는 약 291억원에서 278억원으로 12.1억원(-4.2%) 감소했다.
월평균 학생인건비 지급 인원은 학사 기준 올해 상반기 1만6171 명에서 하반기 1만4964 명으로 1207명(-7.5%) 감소, 석사는 3만2342명에서 3만1416명으로 926명(-2.9%) 감소, 박사는 2만3836명에서 2만3157명으로 697명(-2.8%) 감소했다.
학생연구자 1 명이 받은 월평균 인건비 수준도 학사 기준 올해 상반기 약 48만1774원에서 하반기 46만6606원으로 1만5168 원 감소했고, 석사는 약 90민5400원에서 88만5080원으로 2만320원 감소, 박사는 약 122만366원에서 120만3621원으로 1만6745원 감소했다.
이정문 의원은 “학생인건비를 통합 관리하지 않는 '비통합기관' 사례까지 포함한다면 학생연구자에 대한 인건비 지원 축소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R&D 예산 삭감의 여파로 인해 현장의 젊은 연구자부터 쫓겨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라며 “학생인건비가 사실상 유일한 소득인 학생연구자부터 쫓아내서 얻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윤석열 대통령에게 물어보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故 오요안나 긴급 현안질의 갖는다…MBC 국회로
2025-04-10 17:15:53"스팸문자 발송 전 차단"…민관 협의체, 불법스팸 대응성과 공유
2025-04-10 17:06:41국회 과방위, '故 오요안나 사건' 관련 현안질의 실시
2025-04-10 15:42:08“구글, 1000억 규모 韓 보조금 받는 셈”…망 무임승차, 소비자 편익 어떻게 저해했나
2025-04-10 14:33:51KT, 전사 AX 가속화 위한 '액셀러레이터 TF' 출범
2025-04-10 12:24:35"최애 아이돌에게 숲 선물"…멜론, 엔시티·투바투 2호숲 조성
2025-04-10 18:05:06넥슨재단, 경남권 넥슨어린이재활병원 건립 첫 삽… 2027년 개원 목표
2025-04-10 18:04:46카카오엔터 공동대표, 매각설 부인… "와전된 것, 동요 말아달라"
2025-04-10 18:04:06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협회장 취임… “게임산업 지속 성장 기여할 것”
2025-04-10 18:03:13[DD퇴근길] 故 오요안나 긴급 현안질의 갖는다…MBC 국회로
2025-04-10 17: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