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하이마트, 2022년 창사 이래 첫 연간 적자…전자랜드도 ‘휘청’
- 신임 대표 등장에도 실적 부진…분위기 반전 가능할까
[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가전 수요 절벽에 부딪히면서 시장 하락세가 가파르게 나타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주요 가전 제조사뿐만 아니라 롯데하이마트, 전자랜드 등 국내 가전 유통사 역시 실적 보릿고개를 겪는 중이다.
올해는 분위기 반전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오프라인 매장 효율화와 온라인 쇼핑몰 강화, 상품 가짓수 확장 및 물류 효율화 등을 통해 내부 체질 개선에 힘을 쏟겠다는 목표를 앞세우고 있다.
◆펜트업 끝나고 찾아온 인플레에 ‘줄 타격’…롯데하이마트, 창사 이래 첫 연간 적자
지난해에는 인플레이션 심화 및 고금리로 가전제품을 비롯한 전반적인 정보기술(IT) 기기 수요가 큰 폭으로 줄었다. 특히 물가의 영향을 많이 받는 가전 업계는 타격이 컸다. 수개월 연속으로 소비자물가 지수가 오르자 시장 전체가 기울었다. 아울러 부동산 거래가 침체하며 이사나 혼수 수요가 줄며 가전 수요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가전 소비 하락은 어느 정도 예견된 사실이었다. 2020년 코로나19 기간 해외여행을 비롯한 외부 활동이 막히며 대신 가전을 구매하는 보복소비(펜트업) 현상이 이어졌고, 이에 가전 교체수요가 앞당겨졌기 때문이다. 2021년 3분기 펜트업이 끝나고 경기 침체가 겹치자 가전 수요는 예상보다 더 가파르게 감소하기 시작했다.
가전 업계 관계자들은 “펜트업 이후 가전 구매가 어느 정도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지만, 인플레이션 및 경기 침체로 인해 하락세가 예상보다 컸다”라고 입을 모았다.
국내 가전 업계를 이끄는 삼성전자와 LG전자도 지난해 큰 타격을 입었다. 작년 4분기 삼성전자 가전 담당 부서는 7년 만에 적자 전환했다. 같은 기간 LG전자는 생활가전은 적자를 겨우 면한 수준을, TV는 3분기 연속 적자를 냈다.
가전 유통사도 마찬가지다. 작년 4분기 롯데하이마트의 매출액은 7343억원, 영업손실 44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7.1% 떨어졌다. 또 작년 12월부터 실시한 희망퇴직 관련 위로금 등 일회성 비용이 더해져 영업손실이 늘었다.
롯데하이마트의 2022년 한 해 매출액 3조3368억원, 영업손실 520억원이다. 매출은 전년대비 13.8% 감소했고, 연간 첫 적자라는 뼈아픈 결과를 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AI 학습데이터 확보 온힘...’그랜드데이터’ 협력사 확장
2025-04-06 12:25:32’독점공개’ 전략 접은 KT…“OTT에도 지니TV 오리지널 콘텐츠 공급”
2025-04-06 12:20:00통합만 해왔던 미디어+ICT 거버넌스, 올바른 개편 방향은? [IT클로즈업]
2025-04-06 07:00:00머스크의 스페이스X, 8.6조원 규모 美 국방부 위성 사업 수주
2025-04-05 12:47:15[OTT레이더] “이병 성윤모…” 본격 군생활 코미디 드라마가 돌아왔다
2025-04-05 11:08:27[이음5G 현황下] 확산 한계치 도달?...“DX본격화 되면, 수요 급증” 전망도
2025-04-04 19:46:29[툰설툰설] 야구의 계절이 돌아왔다…'기프트' vs '리듬 앤 베이스볼'
2025-04-06 14:06:37[랜선인싸] 낮엔 의사, 밤엔 AI 크리에이터…'닥터포포'의 아트 세계
2025-04-06 12:22:16[콘텐츠뷰] '내가 죽기 일주일 전'…달콤쌉쌀한 인생의 다크초콜릿
2025-04-06 11:31:38[윤석열 파면] 막 오른 조기대선, 2030 표심에 ‘게임 공약’ 다시 부상하나
2025-04-05 12:46:43[윤석열 파면] "네이버·다음 프로필, 前 대통령"…페북·인스타 소개글은?
2025-04-04 18:23:30엔시티 위시, 엠넷플러스 '숨바꼭질' 두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4-04 17:4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