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말하는 시청점유율은 '시청자의 총 시청 시간 중 특정 방송채널의 시청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로 시청률과는 개념이 다르다. 한 방송사업자의 시청점유율은 30%를 초과할 수 없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4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도 방송사업자 시청점유율 산정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294개 TV 방송사업자다. 지상파 가운데선 KBS의 시청점유율은 22.555%로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이어 MBC(9.868%), SBS(7.738%), EBS(1.792%) 순으로 집계됐다.
종편은 TV조선이 10.677%, JTBC(7.152%), 채널A가 4.713%, MBN이 4.108% 순이었고 보도전문채널은 YTN 3.267%, 연합뉴스TV 3.009%였다.
이 밖에 주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는 CJ ENM이 11.523%로 가장 높았고 현대HCN 2.55%, SK브로드밴드 0.337%, CMB 0.007% 순으로 조사됐다. 위성방송 사업자인 KT스카이라이프는 2.624%로 집계됐다.
TV 방송과 일간신문의 매체 영향력 차이를 의미하는 매체 교환율은 0.36으로 조사됐다. 일간 신문이 갖는 영향력이 TV 방송의 36% 수준이란 의미다. 또, 지난해 신문사의 광고 매출은 1조3050억원으로 방송사(3조1220억원)의 42%에 불과했다.
시사 정보 이용률은 TV 방송이 79.74%, 일간신문이 30.26%로, 시사 정보 이용 시간은 TV 방송이 53.13분, 일간신문이 11.76분으로, 매체 의존도는 TV 방송이 56.83%, 일간신문이 16.11%로 나타났다.
미디어다양성위원장인 김효재 방통위원은 이날 방통위 전체회의에서 "매체 교환율을 보면 일간 신문 영향력이 2019년 41%, 2020년 39%, 2021년 36%로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며 "또 지상파와 종편, CJ ENM 등 다른 PP 간 점유율 격차가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FAST는 무료 OTT?…“뉴 아이디, 스크린 기반 브랜드로 도약”
2025-04-26 07:00:00[DD퇴근길] 트럼프 주니어, 韓 찾는다…정용진 초청에 재계 총수 면담
2025-04-25 17:03:56SKT, 해킹사태 수습 ‘시험대’...“진상규명은 아직, 이용자 보호 집중”(종합)
2025-04-25 14:45:57신세계라이브쇼핑, 울릉도 관광 활성화 도모…“차별화된 여행 상품 운영”
2025-04-25 14:08:47[일문일답] SKT “진상규명 기다려달라...2중 3중 이용자 보호 집중”
2025-04-25 14:02:03[DD's톡] 'SKT, 카카오 지분 매각'에 양사 주가 희비 엇갈려
2025-04-25 11:31:10구글 모회사 알파벳, 1분기 '깜짝 실적'…광고 부문 성장 견인
2025-04-25 17:09:06경주 개관 미디어아트 전시관, '덱스터' 자회사가 만든다
2025-04-25 16:39:44[콘텐츠뷰] "겹사돈·전공의 미화 논란?"…정면돌파 택한 '언슬전생'
2025-04-25 16:02:21'2초 노출에 2500만원'…웹툰 플랫폼, 콘텐츠 넘어 '광고 신시장' 연다
2025-04-25 15:59:30MS, 혐한 논란에 사흘 만 공식 입장… “출시 지연에 사과”
2025-04-25 14:02:42[DD's톡] 고개 못 드는 엔씨 주가… ‘아이온2’가 구할까
2025-04-25 13:5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