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핵심 국정 과제를 추진력 있게 실현하기 위해 장관 직속 기구로 양자기술개발지원과와 디지털플랫폼정부지원과를 신설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기구 신설은 기관장 책임 하에 자율적으로 과 단위 조직을 설치‧운영할 수 있는 ‘자율기구 제도’를 활용해 과기정통부 장관 직속으로 운영한다. 이를 통해 양자 분야 및 디지털플랫폼정부 지원 업무에 대해 신속하고 책임 있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자율기구 제도는 ▲국정과제 및 ▲기관장 역점사업 추진, ▲긴급 현안 대응을 위해 기관장 책임 하에 부처 자율적으로 설치‧운영 가능한 과장급 임시 조직으로 운영기간 6개월이며 1회 연장할 수 있다.
먼저 이번에 신설된 ‘양자기술개발지원과’는 컴퓨팅, 통신, 센서 등 분야별로 부내에 분산돼 있던 양자 기술 진흥 업무를 통합해 국가 차원의 양자 기술 육성에 총력을 기울여 나갈 예정이다.
양자기술은 지난 10월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로 선정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는 ▲ 양자기술 전략로드맵 수립과 ▲양자기술 전반에 걸친 연구개발 및 지원사업 기획‧추진, ▲양자기술 개발에 필요한 공정 인프라 정비를 추진한다.
또 ▲법령 제정, ▲양자기술개발특별위원회 운영 등 정책‧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양자 학회/협의회 설립 등을 통해 민관 협업 거버넌스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디지털플랫폼정부지원과는 지난 9월 출범한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발맞춰 디지털 분야 핵심 국정과제의 성공을 위해 힘쓸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의 공동 주관부처다.
디지털플랫폼정부란,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디지털 플랫폼’ 위에서 국민, 기업, 정부가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정부를 의미한다.
디지털플랫폼정부지원과는 민·관 협력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 및 디지털플랫폼정부 혁신 생태계조성을 위해 과기정통부 소관 ▲국민 체감 선도프로젝트 추진, ▲디지털플랫폼정부 기반 조성을 위한 인프라 설계·구축, ▲ 관련 법·제도의 제·개정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이종호 장관은 “이번 과 신설을 통해 양자기술, 디지털플랫폼정부와 같은 미래를 선도할 전략기술과 정부 시스템을 적극적이고 책임감 있게 준비할 예정”이라며 “앞으로 신설된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ICT 정책 구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카카오엔터 매물로?…노조 반발에 카카오 대답은
2025-04-09 17:07:20조기대선 통신정책 향방은?...단통법 후속조치·통신비 인하 ‘촉각’
2025-04-09 15:42:48딜라이브, 지자체 행사사업 BM 키운다…전남 진도 지역행사 수주
2025-04-09 10:35:13SKT, AI 스타트업 양성 프로그램 실시…“성장 기업과 협력 기회 모색”
2025-04-09 09:44:51[DD퇴근길] '갤럭시S25' 통했나?…삼성전자, 1Q 어닝서프라이즈
2025-04-08 17:24:16라인망가, 日 앱마켓 매출 1위…‘여신강림’, ‘연애혁명’ 드라마 러브콜도↑
2025-04-09 17:53:48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이용자 초청 ‘프리뷰 데이’ 24일 개최
2025-04-09 17:07:34[DD퇴근길] 카카오엔터 매물로?…노조 반발에 카카오 대답은
2025-04-09 17:07:20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만족률, 쿠팡·컬리 앞질렀다…1위 비결은?
2025-04-09 16:07:18스마일게이트, ‘2025 로스트아크 아트 공모전’ 응모 시작… 총 상금 5500만원
2025-04-09 15:3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