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박세아 기자] 날이 갈수록 증가하는 가상자산을 노린 범죄 유형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론이 제시됐다.
1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국내 금융정보보호 컨퍼런스 'FISCON 2022'에서 금융보안원 김지훈 책임은 '디지털자산 대상 사이버 위협 이슈'에 대해 발표했다.
김 책임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가상자산 관련 보안 침해 건수는 지난해 대비 약 13% 증가했다. 그 중 개인키 유출 피해액은 7억3200달러에 이르렀다.
그는 "가상자산의 형태와 용도가 지급 결제, 투자, 자산소유권 보장 및 거래, 디파이(De-Fi) 등 다양한 양상으로 확대되고 있다"라며 "그만큼, 가상자산 보안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 날 김 책임은 가상자산 보안 위협 유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했다.
그는 가상자산 발행 시 서명 검증의 취약점을 활용하거나 가상자산 채굴 패키지 구입을 미끼로 투자금을 모집하고 잠적하는 사기, 거액을 무담보 대출받아 공격에 악용하는 플래시 론 공격 등을 대표적 보안 위협으로 꼽았다. 플래시 론이란 블록체인의 블록 생성 시간 내 대출과 상환이 이뤄지는 무담보 대출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 밖에 디스코드 메신저 봇의 취약점을 악용한 메신저 해킹과 탈중앙화 수준이 낮은 블록체인 노드의 개인키 탈취 후 가상자산 전송, 디파이 도메인 계정에 접근해 피싱 사이트에 연결하는 DNS 공격 등을 주목해야 할 위험요소로 포함시켰다.
김 책임은 "기존 코드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검사를 실시해 누락된 취약점이 없는지 확인하고, 실현 가능한 서비스인지, 혜택이 과도하지 않은지 등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라며 "또 보안 강화를 위해 2차 인증 설정을 의무화하고, 무분별한 이벤트 참여를 지양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법원, 신동호 EBS 신임사장 임명 제동…집행정지 신청 인용
2025-04-07 17:31:11유상임 장관, 잔여 임기 과제는… "GPU 보릿고개, 추경 절실" (종합)
2025-04-07 14:07:45[일문일답] 유상임 장관 “남은 임기 2개월 남짓…ICT 발전 위해 최선”
2025-04-07 13:35:25과기정통부, 6G 리더십 확보한다…저궤도 위성통신 R&D 착수
2025-04-07 11:00:00KT “AI로 392건 보이스피싱탐지, 160억원 피해예방 효과”
2025-04-07 10:12:28[인터뷰] “메시지 마케팅 시장, 지속 성장 중”...iM택시가 KT 택한 이유는?
2025-04-07 09:00:00[단독] 남성판 '호텔 델루나'…신작 '그랜드 갤럭시' 넷플릭스行
2025-04-07 17:39:51[DD퇴근길] IDC 꺼지자 시스템 셧다운…"메일나라, 복구 중"
2025-04-07 17:10:02네이버-브릴리언트 코리아, AI기술-데이터 협력 시작한다
2025-04-07 16:41:06카카오게임즈, 장애인 게임 접근성 높인다…3년 연속 보조기기 지원
2025-04-07 14:49:33지그재그, 온·오프라인 '뷰티 페스타' 개최…최대 97% 할인
2025-04-07 14: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