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인공위성 불모지와 다름없었던 우리나라는 30년 전의 우리별 1호를 시작으로 우리별 2호, 3호로 이어지는 우리별 위성을 개발했고 이후 과학기술위성, 다목적실용위성, 차세대중형·소형위성, 천리안 위성 등 세계적인 수준의 위성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추게 됐다.
또헌, 1992년 55억원에 불과하던 우리나라 위성개발 예산은 2022년 4135억원 규모까지 증가했다. 위성과 발사체 분야에만 투자하던 1992년과 비교해현재는 우주탐사와 인력양성 등의 분야까지 투자 영역이 확장되는 등 우주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전 방위적인 예산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특히 이렇게 쌓아올린 위성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난 6월엔 첫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와 8월 독자개발한 달 궤도선 '다누리'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다누리 개발 시엔 차세대중형위성 플랫폼을 최대한 활용했다.
한편 이날 KAIST는 우리별 1호 발사 3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대전 본원 대강당에서 개최했다. KAIST는 한국연구재단의 선도 공학연구센터 사업에 선정돼 1989년 8월 인공위성연구소(당시 인공위성연구센터)를 출범시켰다. 같은 해, 영국 서리 대학과 국제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해 본격적인 인력 양성을 시작했으며, 연구소 설립 3년 만에 우리별 1호 개발에 성공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이날 기념식에 영상축사를 보내 우리나라 위성 개발 성과와 앞으로의 산업 육성, 핵심 부품 국산화 등의 도전 과제와 정부의 정책 추진 의지를 밝혔다.
이 장관은 “우리별 발사 30주년을 기념하는 것은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역사를 기념하는 자리와도 같다”며 “위성개발에 헌신한 분들과 우주분야 종사자들에게 뜻깊은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또, 향후 과기정통부는 위성 핵심 부품 국산화, 신기술 검증과 다양한 임무수행을 위한 위성개발에 투자하여 국내 위성산업의 발전을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고객정보 유출 따른 피해 없다”…추가 악성코드 발견 여부엔 “곧 정부 발표있을 것”
2025-05-18 11:45:45SKT, ‘고객신뢰 위원회’ 출범…소비자 보호∙권리 전문가 참여
2025-05-18 10:04:13LGU+, 스미싱·피싱 예방 체험형 행사 실시…“피싱·해킹 보험 제공”
2025-05-18 09:03:00KT, 소상공인서비스 가입자 확보 집중…다음달 30일까지 혜택 지급
2025-05-18 09:00:00“권력적 방송심의는 흉기…사업자 중심 자율심의가 시대정신”
2025-05-17 14:30:00[OTT레이더] ‘배구여제’ 김연경의 마지막 스파이크…생중계로 감상해볼까
2025-05-17 10:09:44이해진 네이버, 첫 해외 일정으로 실리콘밸리行…글로벌 AI 투자 본격 시동
2025-05-16 18:43:15"경찰도 전기자전거 구독"…스왑, 서울경찰청 시범 공급
2025-05-16 18:42:14NOL 인터파크투어, 항공권 취소·환불 수수료 무료 프로모션 진행
2025-05-16 17:32:09[DD퇴근길] "구글에 지도 반출하면 생태계 무너질 것"…스타트업, 한 목소리
2025-05-16 17:22:59아디다스 고객 정보 유출…"2024년 이전 고객센터 문의자 대상"
2025-05-16 17:22:14네이버, 디지털상공인 연합 기획전 진행…"소성공인과 동반 성장"
2025-05-16 16:5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