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음 5G에 적용된 ‘스냅드래곤 X62 5G 모뎀-RF 시스템’은 3GPP ▲릴리즈16을 지원하고 ▲퀄컴의 스냅드래곤 X62 5G 모뎀-RF 시스템을 탑재했다. 서브 6 대역(6㎓ 이하)의 NR 주파수로 무선 백 홀 접속 시에는 최대 1.5Gbp, mmWave로 무선 백홀에는 최대 4.24Gbps의 통신 속도를 제공한다.
릴리즈 16 지원 모듈은 ▲초고화질 영상 스트리밍 ▲민감형 스마트팩토리용 CPE에서 필요한 uRLLC(초신뢰저지연통신), 이음 5G에서 ▲mmWave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꼭 필요한 앵커 채널(4.7Ghz)에 접속할 수 있는 NRDC(New Radio Dual Connect)도 제공한다.
우리넷 관계자는 “우리넷은 국산 5G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기술개발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으며, 이번 인증받은 이음 5G로 정부와 통신사의 5G+ 인프라 확대 정책에 맞춰 다양한 단말 및 응용서비스 상용화를 통해 5G 공공 선도사업 등 새롭게 등장하는 5G IoT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기존 LTE 사업자에게 제공했던 S/W 개발환경(SDK)을 5G 응용서비스 개발 협력사에도 제공하는 등 5G IoT 사업이 빠르게 확산할 수 있도록 하고, 28GHz 대역 서비스 출시는 2022년 하반기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현재 우리넷은 5G를 기반으로 ‘기업용 패킷-광 전용유선회선’ 장애시, ‘5G 무선 인프라를 이용해서 백업기능’을 제공하는 ‘5G 유무선 전용회선 이중화 솔루션’도 5월 개발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수초안에 유선망에서 무선망으로 절체가 이뤄지는 유무선 통합기술로 공공, B2B 등에서 사용하는 패킷-광 전용회선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크게 높이고 공간제약 없는 자유로운 전용회선 구성도 가능하다.
우리넷은 이를 기반으로 한 '5G 유무선 전용회선 이중화 기술'로 차세대 MPLS-TP기반 PTN(Packet Transport Network), POTN(Packet Optical Transport Network) 패킷-광 전용회선 무선 백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카카오엔터 매물로?…노조 반발에 카카오 대답은
2025-04-09 17:07:20조기대선 통신정책 향방은?...단통법 후속조치·통신비 인하 ‘촉각’
2025-04-09 15:42:48딜라이브, 지자체 행사사업 BM 키운다…전남 진도 지역행사 수주
2025-04-09 10:35:13SKT, AI 스타트업 양성 프로그램 실시…“성장 기업과 협력 기회 모색”
2025-04-09 09:44:51[DD퇴근길] '갤럭시S25' 통했나?…삼성전자, 1Q 어닝서프라이즈
2025-04-08 17:24:16라인망가, 日 앱마켓 매출 1위…‘여신강림’, ‘연애혁명’ 드라마 러브콜도↑
2025-04-09 17:53:48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이용자 초청 ‘프리뷰 데이’ 24일 개최
2025-04-09 17:07:34[DD퇴근길] 카카오엔터 매물로?…노조 반발에 카카오 대답은
2025-04-09 17:07:20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만족률, 쿠팡·컬리 앞질렀다…1위 비결은?
2025-04-09 16:07:18스마일게이트, ‘2025 로스트아크 아트 공모전’ 응모 시작… 총 상금 5500만원
2025-04-09 15:3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