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임재현기자] 2024년까지 운영될 계획이었던 국제우주정거장(ISS)가 2030년까지 역할을 다한 후 수장될 예정이다.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ISS 전환계획보고서’를 통해 ISS를 민간 우주정거장으로 대체할 것을 밝혔다. ISS는 2030년 말까지 운영되며, 2031년 1월경 지구 대기권에 진입한 뒤 남태평양의 '포인트 네모’에 수장된다.
지난 1998년 발사된 ISS는 그동안 상공 420km의 지구 저궤도를 돌며, 그동안 19개국 200명 이상 우주 비행사를 태웠다. 시설 노후화와 운영주체인 미국과 러시아 간 대립 등으로 2024년 퇴역이 예정됐으나, 지난해 말 NASA가 이를 2030년까지 한 차례 연장했다.
ISS가 수장될 포인트 네모는 프랑스 소설가 쥘 베른의 ‘해저2만리’ 등장인물 ‘네모 선장’에서 이름을 따왔다. 뉴질랜드에서 4800km, 남극 대륙에서 3200km, 칠레에서 3400km 떨어진 외진 곳으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지난 1971년부터 263개 이상 우주 잔해가 이곳에 수장됐다.
역할을 다하고 물러나는 ISS의 빈자리는 민간 우주정거장이 대체한다. 필 맥앨리스터 NASA 상업 우주 부문 책임자는 "NASA의 도움을 받는다면, 민간에서도 충분히 상업용 저궤도 우주비행을 운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ISS 프로젝트에서 빠져 있던 중국은 지난해 우주정거장 ‘톈궁’ 첫 모듈을 발사했으며, 러시아 역시 ISS 운영과는 별개로 2035년 완공을 목표로 2025년 국립우주정거장 건설에 들어갈 예정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KT, 업무시스템 전면 전환…'카이로스X' 프로젝트 돌입
2025-04-20 21:50:10[AI시대, ICT 정책은③] 콘텐츠산업 육성 예산, 전체의 0.14%…"국가 전략 산업으로 키워야"
2025-04-20 16:43:07[OTT레이더] '김혜자♥손석구' 현생 초월 로맨스 시작, 넷플릭스 '천국보다 아름다운'
2025-04-20 10:27:39[인터뷰] 26만 이용자 입과 귀 돼주는 ‘손짓’...KT수어상담사가 보람 느낀 순간은?
2025-04-20 09:00:00유료방송-FAST 新 협력모델 제안…“통합 에코시스템 구축 필요”
2025-04-19 17:37:27[AI시대, ICT 정책은②] 네트워크 준비지수 5위인데…우리 정부는 준비됐나
2025-04-19 08:00:00[툰설툰설] 연애 세포 살리는 로맨스…'입맞추는 사이' vs ‘내일도 출근!’
2025-04-20 14:41:20日 택시단체 "호출서비스 인상적"…카카오모빌리티와 DX 협력 모색
2025-04-20 13:47:00사내맞선·악연…카카오엔터 웹툰 IP 흥행, '바니와 오빠들'도?
2025-04-20 13:44:05네이버, 좌표찍기 알림 공지 시스템 도입…최수연 "이달 내 적용"
2025-04-18 19: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