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임재현기자] 2024년까지 운영될 계획이었던 국제우주정거장(ISS)가 2030년까지 역할을 다한 후 수장될 예정이다.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ISS 전환계획보고서’를 통해 ISS를 민간 우주정거장으로 대체할 것을 밝혔다. ISS는 2030년 말까지 운영되며, 2031년 1월경 지구 대기권에 진입한 뒤 남태평양의 '포인트 네모’에 수장된다.
지난 1998년 발사된 ISS는 그동안 상공 420km의 지구 저궤도를 돌며, 그동안 19개국 200명 이상 우주 비행사를 태웠다. 시설 노후화와 운영주체인 미국과 러시아 간 대립 등으로 2024년 퇴역이 예정됐으나, 지난해 말 NASA가 이를 2030년까지 한 차례 연장했다.
ISS가 수장될 포인트 네모는 프랑스 소설가 쥘 베른의 ‘해저2만리’ 등장인물 ‘네모 선장’에서 이름을 따왔다. 뉴질랜드에서 4800km, 남극 대륙에서 3200km, 칠레에서 3400km 떨어진 외진 곳으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지난 1971년부터 263개 이상 우주 잔해가 이곳에 수장됐다.
역할을 다하고 물러나는 ISS의 빈자리는 민간 우주정거장이 대체한다. 필 맥앨리스터 NASA 상업 우주 부문 책임자는 "NASA의 도움을 받는다면, 민간에서도 충분히 상업용 저궤도 우주비행을 운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ISS 프로젝트에서 빠져 있던 중국은 지난해 우주정거장 ‘톈궁’ 첫 모듈을 발사했으며, 러시아 역시 ISS 운영과는 별개로 2035년 완공을 목표로 2025년 국립우주정거장 건설에 들어갈 예정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디어산업 진흥 ‘마지막 기회’…“‘청와대 미디어수석’ 신설해야”
2025-05-15 17:43:18[DD퇴근길] 테무 개보법 위반, 13억대 과징금 철퇴…"협조 불충분"
2025-05-15 17:28:05"AI 투자, 개별기업 감당 못해…정부 전략적 역할 필요"
2025-05-15 16:24:51넷플릭스 광고요금제 가입자, 9400만명 돌파…”콘텐츠 만큼이나 광고에 집중”
2025-05-15 15:35:102분이면 숏폼 영상 ‘뚝딱’…KT, AI로 콘텐츠 제작 밸류체인 혁신
2025-05-15 15:11:18[DD퇴근길] 테무 개보법 위반, 13억대 과징금 철퇴…"협조 불충분"
2025-05-15 17:28:05사내설명회 이유 있었나…이해진 최측근 최인혁, 네이버 복귀
2025-05-15 17:09:27K-엔터 4대장, 엇갈린 1분기 성적표…2분기 ‘호실적’ 기대감 고조
2025-05-15 16:29:34티캐스트 E채널 '류학생 어남선', 양방향 IP로 승부수 [일문일답]
2025-05-15 15:55:14카카오, ‘브랜드 메시지’ 출시…"스팸 가능성 원천 차단"
2025-05-15 14:5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