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디스플레이

LCD→OLED 전환 가속화…DDI 시장, 올해도 '화창'

- DDI 단가, 2021년 들어 20~30% 상승…일부 업체, 올해 물량 주문 마감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시장이 상승세를 이어간다. 공급난으로 몸값이 뛴 가운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비중 확대로 수익성까지 향상될 전망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2021년 1~3분기에 이어 4분기도 DDI 가격이 올랐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전년대비 20~30% 상승했다. 올해도 추가 인상이 예상된다.

DDI는 액정표시장치(LCD), OLED 등을 구성하는 픽셀을 구동하는 반도체다.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통해 레드·그린·블루(RGB) 서브픽셀을 제어한다. 스마트폰은 1개, TV와 태블릿 등에는 여러 개가 탑재된다.

코로나19 영향으로 TV와 정보기술(IT) 기기 판매가 늘면서 DDI 수요도 증가했다. 작년 초 삼성전자의 미국 반도체 수탁생산(파운드리) 공장 가동 중단, 설비 확보 난항에 따른 8인치(200mm) 웨이퍼 공장 증설 제한 등이 맞물리면서 부족 사태가 발생했다.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단가 인상으로 파운드리 업체가 MCU 생산량을 우선순위로 늘린 점도 한몫했다.

지난해 하반기 들어 전방산업이 주춤했으나 DDI 수요는 여전하다. 공급난을 겪은 완제품 업체가 DDI 재고 확보에 나선 영향이다. 반도체 설계(팹리스) 기업 LX세미콘은 이미 올해 DDI 물량 주문을 끝낸 것으로 전해진다.

LCD에서 OLED로 넘어가는 제품군이 많아진 부분도 업황에 긍정적이다. 스마트폰과 TV에 이어 노트북 PC 게임기 등이 대상이다. OLED는 LCD보다 정밀한 제어가 필요해 상대적으로 고난도 기술을 요구한다. OLED DDI가 더 비싸고 수익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이유다. TV의 경우 OLED가 LCD 대비 2~3배 많은 DDI가 투입된다. 단가와 개수 모두 올라간다는 의미다.

DDI 점유율 1위 삼성전자 시스템LSI 사업부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최대 고객사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제조사의 OLED 탑재 확대로 중소형 OLED 판매량이 확장하고 있다. 대형에서는 LCD를 줄이고 퀀텀닷(QD)-OLED 양산에 돌입했다.

LG디스플레이와 밀접한 LX세미콘은 고객사의 대형 OLED 및 플라스틱(P)OLED 생산능력 증대가 기대 요소다. 매그나칩반도체와 아나패스 등도 OLED 확산세를 반기는 분위기다.

이들 업체는 파운드리 협력사 다변화를 통해 공급망 안정화에 나선 상태다. 삼성전자는 내부 파운드리 사업부 외에 대만 UMC 등에 DDI 제조를 위탁하고 있다. LX세미콘은 SK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 대만 TSMC 위주에서 삼성 파운드리와도 거래를 텄다.

한편 중국의 DDI 내재화 작업은 국내 업체에 변수다. 자체 조달이 이뤄지면 중국 매출 하락이 불가피하다. 그동안 중국은 한국과 대만에 DDI를 의존해왔다. DDI 개발에 성공한 유잉구커지와 현지 최대 디스플레이 제조사 BOE 등이 관련 사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