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월스트리트저널(WSJ)을 비롯한 다수 외신은 페이스북이 ▲자회사 인스타그램이 청소년 정신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모르는 체하고 ▲"모두에게 똑같은 정책을 적용한다"는 말과 다르게 유명인 계정을 특별 관리하며 ▲백신 거부 현상이 자사 서비스를 통해 퍼져나가는 것을 알면서도 방치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지난 4일(현지시간)에는 서버가 다운되는 '먹통 사태'까지 터져 전 세계에서 페이스북에 대한 원성이 빗발쳤다. 앞서 2008년 및 2019년에도 먹통 사태가 터진 적이 있지만, 이번 서버 장애는 그중에서도 최악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사용자 수가 훨씬 늘어났으며, 기업이 도덕성 논란에 휩싸여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페이스북 전 프로덕트 매니저였던 프란시스 하우겐은 페이스북을 "가짜 뉴스 등으로 이용자가 입는 피해에 대한 고려 없이 사익 추구에만 급급하다"고 폭로했다. 폭로에 먹통 사태까지 겹친 4일(현지시간) 당시 페이스북 주가는 5% 가까이 급락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페이스북은 지난 6일 미디어 세션을 열어 인터넷 접근성 확대를 위한 기술을 발표했다. 많은 사람이 더 빠르고 쉽고 저렴하게 인터넷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요점이다. '인터넷 환경에 투자하는 기업'임을 강조해 부정적 여론을 잠재우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광고료를 받아 수익을 올린다. 페이스북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 절반이 인터넷에 접속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을 인터넷 세계로 끌어온다면 수익도 자연스레 증대된다. 인프라 투자로 사회에 환원하는 기업이란 이미지에 더해 수익 확대까지 노릴 수 있다. 페이스북의 이번 행보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돌파구를 마련한 것이라는 분석이 곳곳에서 나오는 이유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해킹피해 발생시 100%책임…유심보호서비스 믿어달라”
2025-04-27 19:30:40'유심보호서비스' 관련 피싱·스미싱 공격 등장…정부, 2차피해 주의 권고
2025-04-27 17:35:21주말동안 ‘쑥’ 빠진 SKT 가입자…경쟁사 마케팅에 ‘진땀’
2025-04-27 16:56:59SKT 해킹사고에…한덕수 대행 "조치 적절성 점검해달라" 긴급지시
2025-04-27 15:28:35[랜선인싸] 보석 감정으로 숏폼 평정…서울 필수 코스된 '링링언니'
2025-04-27 15:28:17[툰설툰설] 각자의 공간, 피어나는 사랑…'이섭의 연애' vs '청춘 러브썸'
2025-04-27 13:37:41크림 리퍼비시 서비스, 올 1분기 거래량 63%↑…중고 테크 소비 ‘쑤욱’
2025-04-27 12:32:58주목받는 추억의 IP,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도 통할까
2025-04-27 11:09:18구글 모회사 알파벳, 1분기 '깜짝 실적'…광고 부문 성장 견인
2025-04-25 17:09:06경주 개관 미디어아트 전시관, '덱스터' 자회사가 만든다
2025-04-25 16:3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