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한 주간 블록체인‧가상자산 업계 소식을 소개하는 ‘주간 블록체인’입니다.
<주간 블록체인>은 기자가 음성 기반 SNS ‘음(mm)’에서 다룬 내용을 토대로 작성됩니다. 매주 목요일 9시 가상자산 재테크 서비스 ‘샌드뱅크’의 백훈종 COO(최고운영책임자)와 함께 ‘음’에서 <귀로 듣는 주간 블록체인> 방을 엽니다.
방에서는 전문가 패널로부터 더욱 심도 있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으며, 기자에게 직접 질문도 가능합니다. ‘음’은 카카오톡 내 서비스로, 카카오 계정만 있으면 누구나 들어와서 방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번주도 국내 시장은 가상자산 거래소 이슈로 떠들썩합니다.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상 영업신고가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지금, 국회가 거래소 관계자들의 목소리를 듣기 시작하면서 거래소 영업신고 문제가 연일 이슈화되고 있습니다. 지난 27에는 금융위원장 청문회의 주요 쟁점으로도 부상했죠.
지난주 <주간 블록체인>은 가상자산 거래소 줄폐업 이후 국내 가상자산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예측을 다뤘는데요. 이번주에는 ‘거래소 영업신고 기한이 정말 연장돼야 할지’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다뤄보겠습니다.
더불어 고승범 금융위원장 후보자는 인사청문회와 사전답변에서 ‘사업자 정리’가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이용자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런데 사업자 정리, 즉 거래소 줄폐업이 늦어져서 생기는 이용자 피해가 클지 아니면 거래소 줄폐업 자체로 생기는 이용자 피해가 더 클지 살펴봐야 합니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격은 아닐지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같은 문제도 함께 다뤄보겠습니다.
◆"1년 6개월 시간 있었다"는 금융위 vs "사실상 6개월도 없었다"는 거래소
특금법 상 가상자산사업자들의 영업신고 기한은 오는 9월 24일입니다. 다음달 24일까지 가상자산 거래소를 비롯한 사업자들은 ISMS(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 은행 실명확인 입출금계좌(원화입출금 시) 등을 갖춰 신고를 마쳐야 하는데요.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이지만 현재 신고한 사업자는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한 곳뿐입니다.
시간이 촉박한 만큼 현재 국내 가상자산 업계 최대 화두는 ‘신고 기한이 미뤄져야 하는지’입니다. 국회에 발의된 특금법 개정안들도 공통적으로 신고 기한 유예 조항을 담았습니다.
앞서 금융위원회 측은 신고기한을 6개월 늦추는 특금법 개정안에 대해 “특금법 통과 이후 (현재까지) 1년 4개월의 시간이 있었다. 6개월 늦춘다고 달리질 건 없다”며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 바 있습니다.
고승범 금융위원장 후보자도 청문회에서 “(신고까지) 1년 6개월의 시간이 있었다”며 “신고 기한 연장이 필요한지 의문”이라고 했습니다. 금융위원장으로 임명될 경우 가상자산 거래소 관계자들을 만나보고, 줄폐업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보겠다고 했으나 신고 기한 연장에 대해선 부정적인 입장입니다.
그런데 거래소들의 생각은 다릅니다. 1년 6개월이 아니라 사실상 6개월도 없었다는 건데요.
금융위 측이 주장하는 1년 6개월은 특금법이 처음 국회를 통과한 2020년 3월부터 계산된 기간입니다. 하지만 거래소들은 사실상 올해 4월까지는 은행과 논의조차 힘들었다는 입장입니다. 은행이 어떤 기준으로 거래소에 실명계좌를 내줘야 하는지, 해당 기준을 정한 은행연합회 가이드라인이 올 4월에야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또 은행들이 연합회의 기준을 적극적으로 참고하는 것도 아닙니다. 가상자산에 대한 금융당국의 입장 자체가 부정적이다보니, 금융위의 눈치를 보는 은행들은 거래소들의 제안을 무조건 배척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ISMS 인증을 획득한 거래소들도 실명계좌라는 큰 기준 하나로 인해 영업신고를 못 하는 상황입니다.
청와대에 올라온 청원에서도 이런 주장이 나옵니다. 현재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에는 "특금법 신고 기간 유예 등 법 개정과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을 부탁한다"는 제목으로 청원이 올라와있는데요.
청원인은 "왜 대한민국에는 코인베이스 같은 글로벌 기업이 없을까"라며 "기술력이 부족해서, 전문인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준수하고 싶어도 준수할 방법이 없는 특금법 때문"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가상자산사업자들은 비현실적이고 위헌적인 규제 안에서 하루 하루 버텨내기 힘든 상황이라 글로벌 진출은 꿈도 꿀 수 없다. 특금법과 같은 비합리적이고, 시대착오적인 규제는 국가 경쟁력을 후퇴시킨다"며 "아무런 대책도 없이 가상자산 사업체들을 강제 폐업시킨다면 가상자산 시장 종사자들, 선의의 투자자들 등 많은 피해자가 발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파수 재할당대가, 정부가 부르는게 값? “산정방식 검토 필요”
2024-11-22 18:23:52유료방송 시장, 역성장 지속…케이블TV 사업자 중 SKB 유일 성장
2024-11-22 13:28:49[디즈니 쇼케이스] 판타스틱4, MCU 합류…미소 짓는 케빈 파이기
2024-11-22 12:56:31LGU+,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AX 컴퍼니 구조 전환 가속화"
2024-11-22 10:18:34LG헬로 송구영 대표이사 재선임…사업 수익성 개선 '총력'
2024-11-21 18:33:01드림어스컴퍼니, 자본준비금 감액해 이익잉여금 500억원 전입
2024-11-22 14:57:25야놀자·인터파크트리플, 12월 ‘놀 유니버스’로 법인 통합
2024-11-22 14:57:10논란의 ‘퐁퐁남’ 공모전 탈락…네이버웹툰 공식 사과 “외부 자문위 마련할 것”
2024-11-22 14:23:57쏘카·네이버 모빌리티 동맹 순항…네이버로 유입된 쏘카 이용자 86%가 ‘신규’
2024-11-22 12:5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