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팡·컬리·SSG닷컴, 다회용 보냉가방 운영 중 겪는 어려운 점은
[IT전문 미디어 블로그=딜라이트닷넷] e커머스 업계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바람이 한창 불고 있습니다. 특히 비대면 시대 배달 물량이 폭증하면서 기업들은 친환경 배송에 집중하기 시작했는데요. 신선식품을 배송하는 SSG닷컴·쿠팡·마켓컬리가 다회용 보냉가방을 만들어 운영하는 이유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선 환경보호를 하고 있다는 만족감을 느낄 수 있고 매번 박스를 분리수거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보냉가방은 도입하자고 해서 즉시 운영할 수 있는 단순한 제도가 아닙니다. 냉동·냉장식품을 얼마나 오래 보관할 수 있는지 여러 실험도 거쳐야 하고 적당한 크기나 디자인, 내구성도 신경 써야 합니다. 그만큼 비용이 많이 들어가겠죠. 또 각 사가 현재 운영 중인 물류시스템이 엉키지 않아야 하는 등 고려사항도 많습니다.
이에 따라 업체마다 보냉가방 도입·운영방식도 상이합니다. SSG닷컴과 컬리는 소비자들이 보냉가방을 직접 보관하고 있다가 새벽배송 주문 후 문 앞에 각각 알비백과 퍼플박스를 내놓으면 배달 인력들이 그 안에 물품을 두고 가고요. 쿠팡은 배송할 때마다 프레시백에 담아 전달한 후 이를 다시 회수해 갑니다. 친환경 배송이라는 취지는 좋지만 이 시스템을 운영해가면서 각사 어려움도 엿보입니다.
대표적인 건 쿠팡 프레시백입니다. 고객이 프레시백을 문 앞에 두면 배송기사가 이를 회수해 가야 하는데요. 몇주째 방치되는 등 수거해가지 않는 일들이 빈번해진 겁니다. 배송인력들에게도 이유는 있습니다.
최대한 빨리 많은 물량들을 배송해야 하는데 중간중간 프레시백을 수거하게 되면 업무 속도가 현저히 늦어집니다. 프레시백을 회수 건당 용역비를 주긴 하지만 일부 지역에선 100~150원 정도로 매우 낮은 편이죠. 이에 쿠팡은 건당 회수 비용을 높이고 이용약관에 프레시백 회수를 배송인력들 역할 중 하나로 명시했습니다.
쿠팡도 SSG닷컴과 컬리처럼 보냉가방을 소비자에게 맡기는 방식이 훨씬 편하다고 느꼈을 것입니다. 다만 프레시백 도입 전 여러 방식을 고민했지만 현재 방식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는데요. 다른 업체들이 신선식품을 하나의 물류센터 혹은 매장에서 가져와 배송하는 반면 쿠팡은 품목에 따라 여러 물류센터에서 발송합니다. 몇 가지 변수만 더해도 복잡도가 올라가다 보니 현재 방식이 최선이란 겁니다.
회수용 방식을 택한 대가(?)는 꽤 큽니다. 세척을 위한 기계설비 비용도 추가로 들어가고, 대규모 프레시백을 세척하려니 탈부착형 ‘찍찍이’를 도입했습니다. 찍찍이가 없으면 내구성이 높아지고 오래 쓸 수 있겠지만 프레시백을 활짝 펼쳐야 세척이 쉽기 때문이죠. 현재도 쿠팡 패키징 이노베이션팀에선 지속적으로 개선할 점을 연구하고 있다고 합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망사용료 또 언급한 美 USTR, 통상마찰 우려 있나 [IT클로즈업]
2025-04-01 17:58:58KT, 삼성전자와 AI 가전구독 서비스 출시…통신업계 최초
2025-04-01 11:07:15SKT 에이닷, 웹 확장프로그램 출시...멀티 LLM 기능에 라이너 추가
2025-04-01 10:03:19“AX로 맞붙자” 통신3사, ‘비통신’ 사업 부진 역사 넘어설까
2025-04-01 09:55:48세종텔레콤, 사업 구조 재편 박차…전기공사 사업 리더십 강화
2025-04-01 09:04:21토종 OTT, 경쟁력 갖추려면…"제작비 줄이고 시즌제로 짧게" (종합)
2025-04-01 20:20:03네이버 AI 브리핑 vs 구글 AI 오버뷰 비교, 결과는?…AI 주권 성공할까
2025-04-01 17:10:16[DD퇴근길] 윤 대통령, 운명의 날…탄핵심판 선고 4일 오전 11시 확정
2025-04-01 17:06:56국제해양영화제, 제10회 OOC 공식 사이드이벤트 주관 기관으로 선정
2025-04-01 16:46:25네이버, 올해 임금 인상률 5.2% 잠정 합의…'스톡 그랜트'는 폐지
2025-04-01 16:4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