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방송

중소PP는 왜 CJ ENM이 아닌 IPTV 편에 섰을까?


[디지털데일리 최민지 기자]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인터넷TV(IPTV) 3사와 복수방송채널사용사업자(MPP) CJ ENM이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을 놓고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IPTV사가 소유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서 CJ ENM 채널을 송출하지 않는 ‘블랙아웃’까지 예고된 상태다.

이는 플랫폼과 콘텐츠 간 갈등으로도 비춰볼 수 있으나, 중소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는 CJ ENM이 아닌 IPTV 주장에 동조하고 있다.

지난달 24일 한국중소방송채널협회는 대형PP 유료방송시장 독식을 규탄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들 중소PP는 CJ ENM과 선을 그으면서,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을 비롯해 선공급 후계약 관행 금지에 대해 반대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CJ ENM은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과 함께 선공급 후계약 관행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강호성 CJ ENM 대표는 “2020년 프로그램을 제작해 방영하지만, 제공에 대한 대가는 2020년 말이 돼야 정해진다. 투자해서 공급한 다음 연말에 대가를 지급받을 때, 원하는 수준을 받지 못하면 어려움에 처할 수밖에 없다”며 “수익이 어느 정도 나올지 예측할 수 없다면 이미 산업화가 아니다”고 쓴소리를 낸 바 있다.

비용과 대가를 예측해 시장에 콘텐츠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마련할 수 있는 입장이지만, 중소PP는 이를 반대하고 있다. 채널권 때문이다. 플랫폼사가 지급하는 전체 재원은 한정돼 있고, 협상 순서도 대형PP부터 이뤄진다. 대형PP가 많은 대가를 가져갈수록 중소PP 몫은 줄어든다. 오히려 퇴출될 가능성만 커진다는 지적이다.

중소PP 관계자는 “지금은 먼저 프로그램을 공급하고 송출하는 상태에서 계약 협상에 들어가기 때문에, 중소PP라도 채널권을 지킬 수 있다”며 “대형PP 요구로 인해 중소PP에게 돌아가는 최소한의 콘텐츠 대가가 줄어들 수 있어, 오히려 대형PP 인상률 상한선을 정하는 규제안도 고려해야 한다. PP업계에서도 독과점방지를 위해 1위 사업자에 대한 규제 조항을 만들면, 정부가 방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중소PP 콘텐츠 경쟁력이 약하기 때문에 채널 생존을 위해 IPTV 편에 섰다고 보고 있다.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는 전문 PP도 있지만, 과거 프로그램을 구매한 후 다시 방영하는 곳들도 많다. 이들은 수신료 수입보다는 광고 매출 비중이 높은 편이다.

또다른 PP업계 관계자는 “수신료 수입 비중이 거의 없는 중소PP 입장에서는 프로그램 사용료를 더 받는 것이 중요한 지점이 아니다”라며 “채널을 송출해 광고를 받아야 하는데, 채널 생살여탈권은 IPTV가 쥐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체계가 유지돼야 한다고 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