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인터뷰

“MZ세대 ‘취향 저격’ 미술품 투자, 블록체인으로 가능했다”

[인터뷰] 김형준 테사 대표

김형준 테사 대표.
김형준 테사 대표.

미술품을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로 발행하는 사례가 늘면서 디지털 미술품 시장에 뛰어드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NFT로 미술품을 만들 경우, 블록체인을 통해 진위 여부와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은 NFT 미술품에서만 유용한 게 아니다. 실물이 있는 일반 미술품에 투자할 때도 유용하게 쓰인다. 미술품 하나에 대한 소유권을 여러 사람들이 나눠 가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자금이 적은 일반 투자자, MZ세대도 미술품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김형준 테사(Tessa)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미술품 공동소유 계약을 원활하게 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테사는 카카오의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을 기반으로 미술품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술품 투자에 블록체인 쓴다…토큰은 소유권 이전에 대한 통지 수단

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자본시장법이 아닌 민법 상 동산 공동 소유 계약을 기반으로 한다. 김 대표는 “단순히 미술품에 대한 지분을 토큰화하는 STO(증권형토큰공개)는 국내 법 상 불가능하다”며 “물건, 즉 동산에 대해선 민법 상 공동 소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동산 공동 소유를 기반으로 한다”고 강조했다.

미술품은 테사가 직접 매입해오며, 투자자들은 해당 미술품을 공동 소유하는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미술품에 대한 소유권을 나눠가진다. 테사는 계약을 체결한 사용자들에게 지분에 상응하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분배한다.

이 때 토큰은 소유권 변동에 대한 통지 수단으로 쓰인다. 만약 투자자가 해당 소유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고 싶을 경우 토큰을 전송하는 방법으로 넘길 수 있다. 토큰 전송 내역은 블록체인 상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소유권 이전 절차가 보다 투명해지는 방식이다.

김 대표는 “투자자와 공동 소유 계약을 체결할 때 통지에 대한 의무를 계약 내용에 포함시킨다”며 “소유권의 주인이 바뀌면 테사 측에 통지를 해야 하는데, 이 때 토큰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통지할 수 있다. 토큰이 소유권 변동에 대한 통지 수단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방식은 사실상 STO와 똑같은 효과를 내지만, 국내 법에 어긋나지 않는다. 김 대표는 “블록체인의 장점을 이용하고, 토큰을 통해 여러 사람이 공동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STO와 비슷한 구조이지만 국내 법 테두리 안에 있다”며 “법무법인의 법률 자문을 거쳤다”고 밝혔다.

◆1000원으로도 가능한 미술품 투자, MZ세대 '취향 저격'

미술품 지분에 대한 최소 단위는 1000원으로, 매우 적은 금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다. 이런 특징 덕분에 테사의 서비스는 투자 자금이 적은 MZ세대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김 대표는 “전체 사용자 중 MZ세대가 70% 정도”라며 “1만명 가까운 가입자 중 실제 투자한 사용자도 2500명에 달한다”고 강조했다.

테사에서 공식 판매한 줄리안 오피의 <Faime, Shaida, Danielle, Ian>. 2000여명이 함께 소유하고 있다./테사 모바일 앱 캡처
테사에서 공식 판매한 줄리안 오피의 . 2000여명이 함께 소유하고 있다./테사 모바일 앱 캡처
투자자들은 미술품이 팔리면 판매 대금을 분배 받게 되는데, 5억 미만 미술품의 판매대금을 받는 데에는 통상 1~2년이 걸린다. 투자 패턴이 빠른 MZ세대 사용자들에게는 해당 기간이 다소 길게 느껴질 수 있다.

이에 테사는 마켓플레이스를 마련, 사용자들끼리 미술품 소유권을 거래할 수 있도록 했다. 김 대표는 “공모가 빠르게 마감되기 시작하면서 마켓플레이스에서 팔리는 소유권에도 점점 프리미엄이 붙고 있다”며 “요즘에는 10% 정도 프리미엄이 붙어 판매된다”고 말했다. 이어 “MZ세대 투자자들을 위해 중간 엑싯(Exit)을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NFT 시장도 염두…소유권과 맞바꿀 수 있는 NFT 발행

일반 미술품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했지만, 날로 성장 중인 NFT 시장도 테사가 염두에 둔 분야다. 현재 테사는 카카오톡 내 디지털자산 지갑 ‘클립’과 함께 NFT 관련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미술품 소유권과 교환할 수 있는 ‘교환권’을 NFT로 만들어 클립 가입자들에게 제공하는 이벤트다.

테사 애플리케이션은 클립과 연동된다. 따라서 교환권 NFT를 받은 사용자들은 테사 앱에서 해당 교환권을 미술품 소유권과 맞바꾸면 된다. 이는 향후 테사가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테스트 버전이기도 하다.

김 대표는 “토큰과 스왑(Swap, 교환)될 수 있는 NFT를 발행할 생각”이라며 “실물 자산과 연동되는 NFT가 나오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언급했듯 테사는 미술품 소유권자들에게 그에 상응하는 토큰을 분배하는데, 해당 토큰과 교환할 수 있는 NFT를 발행한다는 것. 김 대표는 “NFT의 내재 가치가 무엇인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실물 자산인 미술품과 연동되는 NFT이므로 해당 NFT를 소유해야 하는 니즈가 충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물 미술품과 연동되는 NFT 외에, NFT 기반 미술품에 투자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김 대표는 향후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답했다. 현재 테사는 높은 값에 팔 수 있는 블루칩 미술품에만 투자하고 있는데, NFT 미술품이 유명 작가의 실물 그림 만큼 투자 자산으로서 매력을 지닐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김 대표는 NFT 기반 미술품의 소유권에 대한 법률적 장치도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그림은 실물에 대한 소유권과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이 별개”라며 “실물에 대한 소유권이 있다고 해서 그 그림에 대한 NFT를 발행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저작권을 갖고 있어야 NFT를 발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현영기자> hyun@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