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김도현 칼럼

[취재수첩] 살아있네, 반도체 코리아

- 연이은 소재 국산화·외국 기업의 ‘한국 러시’

[디지털데일리 김도현기자] ‘위기 뒤에 기회가 찾아온다.’ 위기와 관련된 익숙한 격언이 최근 반도체 코리아에 적용되고 있다. 일본 수출규제와 미·중 무역분쟁 등이 겹친 상황에서도 국내 반도체 업계가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해 여름 일본의 무역보복 조치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공급망이 무너져, 국내 업체들이 타격받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업계에서도 위기감을 느꼈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였다.

실제로 위기 다음으로 기회가 왔다. 일본의존도가 높았던 국내 반도체 제조사들은 자국 협력사와의 소통이 많아졌다. 이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수출규제 품목으로 지정했던 고순도 불화수소 국산화가 대표적이다. 액체 불화수소는 솔브레인, 램테크놀러지 등이 일본 스텔라케미파, 모리타화학의 자리를 대신했다. 기체 불화수소는 SK머티리얼즈가 양산에 돌입했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블랭크마스크 등도 국산화가 진행되고 있다.

심상치 않은 변화에 일본 기업들이 한국 생산기지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 도쿄오카공업(TOK)은 인천 송도 공장에서 극자외선(EUV)용 포토레지스트 생산을 시작했다. 다이요홀딩스는 충남 당진에 반도체 패키징용 솔더레지스트 공장을 짓기로 했다. 이외에도 여러 기업이 같은 행보를 보인다.

글로벌 기업들도 국내로 모여드는 분위기다. 독일 소재업체 머크는 경기도 평택에 한국 첨단기술센터(K-ATec)를 개소했고, 미국 장비업체 램리서치는 경기도 용인 연구개발(R&D) 센터 기공식을 앞두고 있다.

외국 업체들의 연이은 ‘한국행’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라는 대형 고객사가 있는 덕분이다. 이들과 깊은 관계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국제무역센터(ITC)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 1분기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수출시장 1위를 기록했다. 수출 내역 공개한 이래 첫 쾌거다.

반도체 코리아의 위상을 잃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일련의 과정을 보면 딛고 일어서는 흐름이다. 코로나19 여파 속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선전도 같은 맥락이다. 소부장 업체들도 잇따라 성과를 내면서, 두 업체를 지원하고 있다. 다시 위기의 순간이 찾아오겠지만, 산·학·연 협력이 효과적으로 이뤄진다면 언제든지 기회로 바꿀 수 있다. 지난해와 올해 그랬던 것처럼.

<김도현 기자>dobest@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