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윤상호 칼럼

[취재수첩] ESS 화재, 배터리 탓?

- 설익은 ESS 조사단 결론, 한국 배터리 산업 ‘발목’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배터리 업계가 발칵 뒤집혔다. 정부가 지난 6일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원인을 ‘배터리 이상’으로 특정했기 때문이다. ESS 화재사고 조사단은 작년 8월부터 10월까지 발생한 화재 5건을 4개월 동안 조사했다. 3건이 LG화학 배터리 2건이 삼성SDI 배터리가 들어갔다. LG화학과 삼성SDI는 즉각 반박했다. 정부 발표에 업체가 직접적으로 반대 의견을 제시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그만큼 이번 발표가 업계에 미칠 영향력이 크기 때문이다.

LG화학은 실증시험에서 화재를 재현하지 못한 점을 문제 삼았다. 조사단이 발견한 배터리 이물질과 용융 흔적 등은 화재 직접적 원인이 아니라고 했다. 삼성SDI는 조사단이 조사한 배터리가 화재 현장이 아닌 다른 현장 배터리라는 점을 지적했다. 조사단 결과가 맞다면 다른 곳에서도 화재가 일어났어야 한다는 뜻이다. 배터리에서 불이 난 것은 맞지만 불이 난 원인은 배터리가 아니라고 했다. 휘발유에 불이 나려면 성냥불 같은 점화원이 있어야 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두 회사 주장은 표현은 다르지만 같은 얘기다.

공동 조사단장 숭실대학교 김재철 교수도 이를 인정했다. 김 교수는 “화재 현장 발화지점 배터리가 소실돼 직접적 원인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종합적 조사 분석을 근거로 결과를 도출했다”라고 말했다. 또 “현재는 불이 나지 않았지만 다른 배터리를 수거해 학문적 실용적 체계적 분석을 해보니 불이 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판단하지 않고 추정한다고 했고 그를 이상이라고 했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재연시험은 현재 우리나라에 할 수 있는 곳이 없어서 하지 못했다”라며 “국내에서만 불이 난 것은 여러 이유가 있다. ESS 운영을 우리와 다르게 한다. 비싼 설비를 열악한 지역에 설치해서 운영하는 것도 다시 한 번 생각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1차 조사단의 결과는 설치와 운영상의 문제를 상수로 놨다. 1차 조사단은 23건을 살폈다. 2차 조사단의 결과가 논란이 되는 이유기도 하다. 2차 조사단은 1차 조사단과 달리 전체 20명 중 3명을 국회에서 채운 것도 뒤바뀐 결론에 의문을 더한다.

정부의 결론도 대책도 앞뒤가 맞지 않는다. 배터리가 문제라면 배터리를 교환해야 제대로 된 대응이다. 하지만 대책은 충전율 제한과 시설 개선에 초점을 맞췄다. 사업이 중요하니 기업에 면죄부를 주라는 소리가 아니다. 낙인을 찍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는 얘기다. 한 번 나온 말은 주워 담지 못한다. 정부의 설익은 발표가 우리 배터리 산업에 찬물을 끼얹었다. 양사는 국내 ESS 배터리 대부분 해외 ESS 배터리 절반 정도를 점유하고 있다. 해외 경쟁사의 환호가 벌써 귓가에 아른거린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