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최근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이 조달청과 다수공급자계약을 체결하며 공공(government) 클라우드 시장 공략에 나섰다. NBP 이외에 KT, 가비아 등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클라우드 보안인증을 받은 업체들이 다수공급자계약을 체결해 실제 제품(서비스)이 등록되며,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서비스 구매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물론 당장은 컴퓨팅이나 저장공간(스토리지) 등을 빌려주는 서비스형 인프라(IaaS)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만 제공될 예정이다. 또, 공공기관의 망분리 등에 따라 전체 시스템 모두를 클라우드 환경으로 옮기기엔 한계가 있을 것이고, 제공되는 서비스는 그동안 SI식 ‘커스터마이징’에 길들여진 수요자에 입맛에 맞지 않을 수 있다. 서비스 초기인 만큼, 분명 시행착오와 이에 따른 불만도 많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형태로 운영되는 공공 정보화 사업은 그동안 지적돼 왔던 수많은 문제들을 일정 부분 해소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내 공공 정보화 시장은 흔히 SI라 부르는 IT서비스업체와 해외 벤더, 국내 유통업체, SW업체 등이 거미줄처럼 촘촘히 엮여 잡음이 끊이지 않는 시장이다.
사업예산은 늘 부족해 디스카운트(할인)가 일상화되다보니 업체들은 마진이 나지 않는다고 불만을 토로한다. 발주자의 비전문성에 따른 명확치 않은 제안요청서(RFP)와 해외 벤더 및 파트너의 알박기 논란, 이에 따른 불공정한 관행들, 짧은 사업기간과 보상 없는 과업변경과 추가, 개발자 처우 등 고질적인 문제들은 오랫동안 이어져 왔지만 쉽게 해소되지 않고 있다.
큰 이득은 되지 않지만, 그렇다고 당장 안할 수는 없는 공공정보화 시장은 ‘계륵(鷄肋)’과 같은 존재다. 만약 빌려쓰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가 이 시장에 안착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모르긴 몰라도 당장 불필요한 하드웨어의 구매, 그리고 이에 대한 유지보수사업은 사라질 것이다. 지난해 약 4조원에 달하는 공공정보화시장에서 신규 사업은 대폭 줄어든데 비해, 유지보수사업의 비중은 더 커졌다는 분석이다.
클라우드 도입을 통해 새로운 시스템을 구매하거나 이에 대한 유지보수를 하는 대신 공공 IT 본연의 역할인 편리한 대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더 중점을 두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디지털 기술을 통한 공공 서비스 질의 향상은 정부가 그토록 부르짖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걸맞는 모습일 것이다.
이와 함께 클라우드로의 변화에 따라 데이터의 주도권(오너십)은 공공기관에서 이전보단 철저히 관리해야 할 것이다. 사실 국가에서 ‘기밀’로 지정하는 1급 정보는 클라우드 환경으로 옮겨올 수도 없다는 점은 ‘안비밀’이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독] 유료방송 위기여파 PP로…“콘텐츠 사용료 약 1200억원 감소 전망”
2025-04-03 17:44:35[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인터뷰] 이해민 의원, "美 통상마찰 없이 '망 무임승차' 해결하려면"
2025-04-03 15:59:44KT알파 쇼핑,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점유율 1위 ‘로보락’ 최신상 판매
2025-04-03 13:35:10[현장] ‘탈TV·탈모바일’ CJ온스타일, 성수서 독보적 행보…“발견형 쇼핑의 정점”
2025-04-03 12:00:00[네카오는 지금]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임박, 트래픽 폭증 대응책은?
2025-04-03 18:11:06[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응급실 온 전통킥보드 사고 환자, 4명 중 3명은 헬멧 안 썼다
2025-04-03 17:13:33넥써쓰, 통합 앱 ‘크로쓰x’ 출시… 크로쓰 생태계 본격 가동
2025-04-03 17:05:28넷마블 ‘RF 온라인 넥스트’, 장기 흥행 청신호… MMO 서비스 노하우 빛났다
2025-04-03 16:35:54[빅테크 24시] 美, 틱톡 인수 아닌 '알고리즘 임대' 검토…결정 연기되나?
2025-04-03 16: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