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채수웅 칼럼

[취재수첩] 교육이 바뀌어야 4차 산업혁명 시대 연다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대통령 선거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표심을 얻기 위한 후보간 차별화된 공약이 쏟아지고 있다.

진보, 중도, 보수의 가치가 달라 여러 부분에서 약속이 다르지만 공통된 것도 있다. 바로 '제4차 산업혁명'이다.

지지율 1위 문재인 후보나 지지율이 집계조차 되지 않는 군소 후보, 좌우 가리지 않고 4차 산업혁명은 공통분모다. 불명예 퇴진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창조경제를 지우기라도 하듯 대선 후보들 모두 경쟁적으로 4차 산업혁명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가 3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고는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4차 산업은 말 그대로 혁명적 현상으로 순식간에 이 사회를 점령했다.

누가 대통령이 돼도 새 정부의 경제분야 구호는 4차 산업혁명이 될 가능성이 높다. 대통령직속 위원회 신설부터, 10만 인력양성 등 다양한 공약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주요 후보들의 4차 산업혁명을 꼼꼼히 들여다보면 자칫 구호로만 끝나거나, 잘못된 접근방식으로 예산만 낭비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가장 우려스러운 것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뒷받침할만한 교육정책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정부의 정책과 기업의 투자만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오랜 기간 동안 걸쳐 진행될 산업혁명의 주인공은 지금 커가는 초중고 학생들이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의 교육방식은 '창의'와는 거리가 멀고, 대부분이 대학 합격을 위한 입시교육이다. 주요 후보들 역시 사교육이나 입시위주 교육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내년부터 초중고 소프트웨어 의무교육이 시행되지만 전담 교사 없이 담임이 해당 수업을 진행해야 하는 초등학교나 부족한 정보기술 분야 교사 문제 등 여전히 갈길이 멀다. 연간 34시간, 그것도 3년 중 1년만 진행하는 수업이 우리 아이들을 얼마나 창의적인 인재로 만들 수 있을까. 그나마 이제 첫걸음을 떼었다는 점에서 다행이지만 혁명의 시대를 준비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이다.

지난달 시행된 9급 공무원의 경쟁률은 35대 1이었다. 서울시교육청 일반직 공무원 신규임용시험 경쟁률은 48.6대 1이었다고 한다. 안정적인 공무원이 되기 위해 오늘도 수많은 젊은이들이 책과 씨름하고 있다.

누가 대통령이 되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정책을 펼 때 가장 최우선, 가장 고민해야 할 부분이 바로 교육 분야다. 지금처럼 불평등하고, 입시중심의, 안정적인 직장만을 바라는 교육 정책으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생존할 수 없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창의적 인재가 주도하는 사회다. 지금의 입시위주 교육으로는 창의적 인재 양성은 먼나라 이야기일 뿐이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