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뉴스

MBK 김병주 회장, 사재 출연 발표 D-1… 홈플러스 '네탓' 공방에 농축산단체 반발

ⓒ홈플러스 노동조합
ⓒ홈플러스 노동조합

[디지털데일리 강기훈기자] 국회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와 김병주 회장에게 사재 출연을 포함한 피해 구제안을 10일까지 제출하라고 요구한 가운데, 기한을 하루 앞두고도 구체적인 입장이 나오지 않아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앞서 지난 2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사회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조건부 약속으로 국민을 기만하는 행태가 지속된다면, 청문회를 통해 책임을 묻겠다"고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MBK를 압박한 바 있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치권과 금융권에선 MBK와 김 회장이 2조 원 규모의 실질적인 방안을 내놓지 않을 경우, 강도 높은 압박이 불가피하다는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김 회장은 이같은 정치권의 요구에 아직 구체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홈플러스는 거래처 및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의 과정에서도 책임 공방이 깊어질 뿐 시원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는 모습이다.

서울우유는 지난달 20일부터 홈플러스에 대한 납품을 중단했다. 홈플러스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 전 체불한 납품 대금 지급 방식과 기한을 두고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또한 농협경제지주도 채권한도를 대폭 줄이며 납품을 보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농축산연합회는 "홈플러스가 일방적으로 거래를 끊어 놓고, 피해 책임을 농가에 돌리고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연합회측은 "MBK 회장의 사재 출연 이행도 없는 상황에서 납품 조합들은 불안을 안고 물품을 공급하고 있다"며 "홈플러스는 농업인 앞에 사과하고 구체적인 정상화 계획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MBK는 홈플러스 사태 관련 여론이 악화하자 김병주 회장의 사재 출연 카드를 급하게 꺼냈지만, 지급 시기와 규모 등을 아직까지 밝히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MBK가 기업 인수·합병의 명분으로 내세운 '거버넌스 개선'을 정면으로 역행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김병주 회장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지난달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언론에 약간의 잡음을 일으켰다((The Homeplus rehabilitation generated some noise in the press)"며 안일한 인식을 드러내 비판을 받은 바 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