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뉴스

홈플러스 사태로 난리인데 ‘약간의 잡음’?… MBK 김병주 회장, 서한 논란

ⓒMBK파트너스 홈페이지 화면 갈무리
ⓒMBK파트너스 홈페이지 화면 갈무리

[디지털데일리 권유승기자] 홈플러스의 기습 기업회생절차 신청 사태 이후, 정치권과 금융당국 등의 질타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이를 놓고 '약간의 잡음(Some noise)'이라고 평가절하한 사실이 공개돼 논란이 커지고 있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김 회장은 지난달 24일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이 언론에 약간의 잡음(소음)을 일으켰다(The Homeplus rehabilitation generated some noise in the press)"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4일 MBK가 최대주주인 홈플러스의 기습 기업회생절차 신청으로 '홈플러스 사태'가 불거진 이후 김 회장의 인식이 직접적으로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김 회장은 지난달 18일 국회에서 열린 '홈플러스 사태 긴급현안 질의'에 출석해달라는 요구에도 불응했고, MBK와 홈플러스의 '채권 사기 발행 의혹'에 대해서도 별도의 입장을 내지 않았었다. 하지만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김 회장의 안이한 인식이 드러났다는 지적이다.

특히 홈플러스의 납품업체와 임대인, 채권 투자자, 채권 판매한 금융사 등이 일제히 피해를 호소하며 홈플러스 경영진을 고소까지 했는데도 정작 홈플러스 사태에 책임이 있는 최대 주주의 회장이 '일부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적은 것이 비판을 받고 있다.

김 회장은 서한에서 "우리의 모든 포트폴리오가 좋은 성과를 낸 것은 아니다"라며 "(홈플러스와 관련한) 여러 이해관계자 중 일부는 주주와 비교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우리는 알고 있지만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같은 김 회장의 인식과는 달리, 지난 1일 금융감독원은 MBK와 홈플러스를 조사한 결과를 일부 발표하며, 그들의 해명과 달리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준비하며 채권을 발행한 것으로 보인다는 정황을 포착했다고 설명해 대조를 보였다. '사기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 것이다.

한편 김 회장은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M&A에 대해서도 차입매수 방식에 대한 비판과 기술유출 우려, 해외매각 가능성, 검은머리 외국인 논란, 중국자본 논란 등 숱한 논란에도 언론탓으로 화살을 돌렸다.

김 회장은 서한에서 "고려아연 인수는 세계 최고의 멀티메탈 제련소의 '적대적 인수'라는 선정적 헤드라인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우리는 경영 투명성을 구현하고 지배주주의 이익을 모든 주주의 이익과 일치시키기 위해 최대주주의 백기사 역할을 하고 있고, 이번 거래는 지배구조 중심 거래의 물결을 일으키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 믿는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MBK는 지난 주주총회에서 홈플러스 대표인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을 고려아연 이사회 이사진에 합류시켰다.

한편 미국 시민권자이자 역외 탈세 의혹 등 검은머리 외국인 논란의 당사자인 김병주 회장은 MBK의 창업자이자 회장으로 투자심의위원회에서 유일하게 비토권(거부권)을 갖고 있는 등 전권을 휘두르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고려아연처럼 국가경제와 국가안보에 직결되는 국가기간산업을 외국인이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사모펀드가 경영하는 게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