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 최근 전세계 AI 시장을 뒤흔든 '딥시크 쇼크'가 어느덧 발생 한달여를 맞이하고 있다. 그간 딥시크의 다양한 '허와 실'이 드러났고, 미국 등 주요국에서는 어느덧 전열을 다듬어 역공에 나섰다. 반면 딥시크 등장 이전에도 '추격자' 신세였던 한국은 여전히 대응의 갈피를 잡지 못한 모습이다. 이에 오는 19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는 'AX발전포럼'이 출범하고, '2025 한국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정책 제언'이 첫 아젠다로 논의된다.
AX발전포럼은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형두(국민의힘), 조인철(더불어민주당), 이해민(조국혁신당) 의원이 주최하고 디지털데일리가 주관한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안전부, 공정거래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등 유관부처와 산업계,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현 상황을 진단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날 발제는 김민기 카이스트(KAIST) 경영전문대학원장과 김현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가 맡는다. 두 발제 모두 '딥시크 쇼크'가 불러온 표면적 문제에만 대응하는 것이 아닌, 딥시크 쇼크로 더욱 시급하게 드러난 한국의 AI 인프라 강화 문제, AI 기본법 보완 방향 중심의 본질적인 메시지가 담길 예정이다.
첫 발제자인 김민기 원장은 'AI 고도화 시대, 데이터센터와 에너지 이슈'를 주제로 발표한다. 주요 내용에 한국이 글로벌 AI 열강, 기업들과 대등한 경쟁에 반드시 필요한 AI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보의 중요성 및 당면 과제, 해결 방안 등의 제언이 포함된다.
이어 김현경 교수가 정식 발효까지 1년도 채 남지 않은 한국의 AI 기본법이 올해 반드시 보완해야 할 다섯가지 과제, 정책 입안자들이 긴과하지 말아야 할 점들을 정리해 전한다.
위 발제 내용들을 바탕으로 '미·중 글로벌 AI 패권 경쟁 속 한국이 설 자리는?'이란 주제의 심층 토론도 이어진다.
패널은 산·학·연 주요 관계자 8인으로 구성됐다. 정부에서는 강감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 김경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이 참여한다. 협단체 대표로는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 협회장, 박성호 한국인터넷기업협회장이 기업의 목소리를 전한다. 이와 함께 안소영 LG AI연구원 정책수석,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 윤희식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정책협력법무실 이사 등 주요 스타트업 및 정책연구 담당자들도 각자의 목소리를 더할 예정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딜라이트닷넷] 통신3사, ‘AI 브랜드’ 강화 나섰다…AI 전문기업 전환 속도
2025-04-11 17:31:18'ICT 협력채널' 한일중 ICT 장관회의 개최…7년만에 재개
2025-04-11 17:13:15[전문가기고] “지역경제 숨통, 케이블TV 지역광고 규제완화가 마중물”
2025-04-11 14:32:28"너흰 못 보는데 왜"…中 휩쓴 '폭싹 속았수다' 김선호 챌린지
2025-04-11 13:49:19CJ온스타일, 컴온스타일 기간 뷰티∙식품 거래액 ‘쑤욱’
2025-04-11 10:59:32카카오 김범수, 재판 불출석…"수술 회복중, 당분간 참석 어려워"
2025-04-11 18:13:14[DD퇴근길] 점유율 높인 '쿠팡이츠서비스', 영업이익률이 1.1% 라고?
2025-04-11 17:14:55"장애인 여행객도 자유롭게"…놀유니버스, 무장애 여행 캠페인 진행
2025-04-11 17:13:39하이브·경기북부청 공조…아티스트 딥페이크 범죄 피의자 검거
2025-04-11 17:12:56카카오, OECD 회의서 '상권 살리기' 성과 발표…"단골 1만명 확보"
2025-04-11 16:19:48[빅테크 24시] 인스타그램 "Z세대 놓칠라"…틱톡따라 검색 개편
2025-04-11 16:1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