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전고체 배터리의 안전성을 위해서 궁극적으론 각형 폼택터로 가게 될 겁니다."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중대형상품기획팀장)은 23일 서울 강남구 소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제1회 'SNE 배터리데이'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고 부사장은 "전고체 전지 자체는 안전한데 외부에서 열전이나 이런 것들을 고려했을 때, 파우치형 배터리는 불에 잘 타는 특성이 있다"라며 "외장재 자체의 안전성을 끌어올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삼성SDI는 올해 초 한국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4에서 전고체 배터리 ASB(All Solid Battery)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현재 삼성SDI가 양산 중인 삼원계각형 배터리(P5)와 비교해 약 40%가량 향상된 에너지 밀도 900와트시리터(Wh/L)의 성능을 갖고 있다. 2027년 양산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고 부사장은 2027년 첫 양산품이 각형 전지가 될지에 대해선 "여전히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다만, 각형 폼팩터를 위한 기술 진척은 상당 부분 진행 중인 상태라고 전했다.
그는 "전고체 전해질과 전극 간의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고 이온 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가압이라는 것이 필요한데, 여기선 균일한 가압을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수적"이라며 "셀 단위에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하더라도, 팩 단위에서는 에너지 밀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리튬이온 모듈의 외장 프레임이 견디는 그런 압력 수준을 견디는 전고체 전지 기술은 확보했다"라며 "자동차 업체들과 함께 2027년 전고체 전지 탑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추가 정보유출, 확인된 바 없다”…2차피해 발생 시 100% 책임
2025-05-19 15:05:22정부 “SKT, IMEI 유출 가능성 있지만…복제폰 생성은 불가”
2025-05-19 13:57:12SKT 해킹서 IMEI 포함된 서버 감염 확인…"유출 여부는 확인 안돼"
2025-05-19 11:09:50쇼핑엔티, 가정의 달 맞아 소외계층 지원 위한 바자회 개최
2025-05-19 10:44:04LGU+, 대학생 대상 ‘유쓰페스티벌’ 실시…안티딥보이스 체험장 마련
2025-05-19 09:40:55KT, 난청아동 위한 야구 체험행사…KT위즈파크 ‘드림투어’ 실시
2025-05-18 20:39:18"음악증권 청약에 참여하면 배당금 2배" … 뮤직카우, 내달 18일까지 이벤트
2025-05-19 14:19:16컴투스플랫폼, 넵튠과 플랫폼 '하이브' 사용 계약 체결
2025-05-19 14:17:27넥슨, 신작 '빈딕투스' 6월 9일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시작
2025-05-19 11:44:51'퇴마록’이 들린다…밀리의 서재, 오디오북 국내 최초 공개
2025-05-19 11:34:55'밤샘 틱톡 금지령'…밤 10시 넘으면 청소년 피드에 명상 영상 뜬다
2025-05-19 11:2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