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채성오기자] 2030년이 되면 소비자 10명 중 8명은 주요 결정을 인공지능(AI)으로 결정할 것이라는 보고서가 나왔다.
9일 글로벌 통신장비 기업 에릭슨 산하 에릭슨 컨슈머랩이 발표한 '2030년대 10대 소비자 트렌드: AI가 주도하는 미래'에 따르면, 2030년대에는 소비자 80%가 AI를 활용해 삶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을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기기, 생성형 AI 등에 익숙한 얼리어답터는 AI에 대해 희망적인 유형과 두려움을 느끼는 유형으로 나뉘었다.
AI에 대해 희망적인 유형은 응답자 중 51%로 과반을 차지했으며, 34%의 응답자는 AI에 두려움과 불안을 느낀다고 답변했다. 희망적인 유형의 사람 중 37%는 2030년까지 자신의 삶에서 AI를 사용하는 방식을 온전히 제어할 것이라고 했지만 두려움을 느끼는 유형 중에는 27%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또한 AI에 대해 희망적인 유형과 두려움을 느끼는 유형 중 AI를 가능한 한 많이 활용할 것이라 답한 비율은 각각 53%와 26%로 나타났다.
다가오는 AI 시대의 10대 소비자 트렌드는 ▲AI 쇼퍼 ▲생성형 패션 ▲감성적 시나리오 ▲휴먼 디지털 트윈 ▲프로그래밍된 자녀 ▲AI 통치 ▲권한이 없는 직원 ▲데이터 무질서 ▲ AI 통제 상실 ▲키 관리자 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대다수에 해당하는 95%가 "관련 트렌드 중 일부는 현실화될 것"이라고 답했다.
에릭슨 컨슈머랩은 'AI를 수용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성공의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시했다. 응답자 중 일부는 AI의 조언을 무시한 사람이 2030년대의 혁신가가 될 것이며, 이런 저항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했다. 이는 AI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시대에도 인간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마이클 비요른 에릭슨 컨슈머&인더스트리랩 리서치 의제 및 품질 총괄은 "통신업계가 향후 네트워크 트래픽에도 영향을 미치는 AI 시대 소비자 트렌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특히 소비자가 AI에 가지고 있는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에릭슨 컨슈머랩이 발표한 이번 보고서는 전 세계 13개 도시의 얼리어답터 65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GS샵, 첫 셀럽 방송 ‘요즘언니 with 양정아’ 론칭
2025-05-21 10:02:10LGU+, ‘고객감동콜센터’ 인증 획득…“AI 활용 성과”
2025-05-21 09:55:39[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촉발된 'AI 저작권'…"법·정책 논의 필요해"
2025-05-20 17:15:02"JTBC 중계권 입찰 문제없다"…법원, 지상파 3사 가처분 기각
2025-05-20 16:47:18우주청, 위성정보활용협의체 실무자 교육…"공공서비스 적용 확대"
2025-05-20 16:08:37원웨이티켓스튜디오, 신작 '미드나잇워커스' 게임스컴 출품
2025-05-21 10:31:49야놀자,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나선다 …AI 기반 트래블 테크 혁신 선도
2025-05-21 10:19:47크래프톤, 110억원 기부로 카이스트에 교육·연구 공간 건립
2025-05-20 18:15:20"폭싹 속았수다도 참여했는데"…韓 VFX 상장사, '적자 늪' 여전
2025-05-20 17:40:14카카오엔터 장윤중 공동대표, 빌보드 '2025 글로벌 파워 플레이어스' 선정
2025-05-20 17: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