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김보민기자] 메일 관리자로 위장해 사용자 정보를 탈취해가는 피싱 공격법이 포착됐다.
안랩(대표 강석균)은 '이메일 저장 용량 관리', '바이어 문의 공지' 등 다양한 내용으로 위장한 피싱메일 사례를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공격자는 사용자 의심을 피하기 위해 가짜 보안코드 인증 단계를 만들거나, 실존하는 협회를 사칭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메일 안내 메일로 위장한 공격자는 '받은 편지함이 꽉 찼습니다'는 제목으로 사용자 관심을 끌었다. 메일 본문에는 '받은 편지함이 가득 차 저장용량이 부족하다'며, '중요한 이메일을 계속해서 수신하려면 여유 공간을 확보하라'는 내용을 적었다. 여유 공간 확보를 위해 특정 버튼을 클릭하도록 유도하기도 했다.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누르면 보안코드 인증 화면을 위장한 피싱 화면이 나온다. 여기에 보안 코드를 입력하면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탈취하기 위한 피싱 로그인 페이지가 나타난다. 입력한 계정 정보는 공격자 서버로 전송된다.
바이어 문의 공지로 위장한 피싱메일도 발견됐다. 공격자는 실제 존재하는 특정 협회 마케팅팀을 사칭해 '접수했던 신규 사업 문의에 대해 지원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파악하라'는 내용의 메일을 전송했다.
본문에는 사용자를 속이기 위해 특정 협회 소속 직원 명함을 위장한 이미지도 첨부됐다. 사용자가 '인 콰이어리 보기' 버튼을 누르면, 해당 협회를 사칭해 로그인을 유도하는 화면이 나온다.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서 로그인을 시도하면 계정 정보가 공격자 서버로 전송된다.
안랩은 피싱 메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 발신자를 확인하고, 첨부파일 실행을 금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백신 최신 버전을 유지하고 프로그램 최신 보안패치를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익규 안랩 시큐리티 인텔리전스센터(ASEC) 분석팀 연구원은 "공격자는 관심을 유도할 만한 내용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하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본 보안수칙 실천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고객정보 유출 따른 피해 없다”…추가 악성코드 발견 여부엔 “곧 정부 발표있을 것”
2025-05-18 11:45:45SKT, ‘고객신뢰 위원회’ 출범…소비자 보호∙권리 전문가 참여
2025-05-18 10:04:13LGU+, 스미싱·피싱 예방 체험형 행사 실시…“피싱·해킹 보험 제공”
2025-05-18 09:03:00KT, 소상공인서비스 가입자 확보 집중…다음달 30일까지 혜택 지급
2025-05-18 09:00:00“권력적 방송심의는 흉기…사업자 중심 자율심의가 시대정신”
2025-05-17 14:30:00[OTT레이더] ‘배구여제’ 김연경의 마지막 스파이크…생중계로 감상해볼까
2025-05-17 10:09:44이해진 네이버, 첫 해외 일정으로 실리콘밸리行…글로벌 AI 투자 본격 시동
2025-05-16 18:43:15"경찰도 전기자전거 구독"…스왑, 서울경찰청 시범 공급
2025-05-16 18:42:14NOL 인터파크투어, 항공권 취소·환불 수수료 무료 프로모션 진행
2025-05-16 17:32:09[DD퇴근길] "구글에 지도 반출하면 생태계 무너질 것"…스타트업, 한 목소리
2025-05-16 17:22:59아디다스 고객 정보 유출…"2024년 이전 고객센터 문의자 대상"
2025-05-16 17:22:14네이버, 디지털상공인 연합 기획전 진행…"소성공인과 동반 성장"
2025-05-16 16:5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