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공공부문의 디지털서비스 이용 및 확산을 위한 ‘디지털서비스 2023 서밋’을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는 민간 클라우드 등 디지털서비스를 도입하려는 행정・공공기관이 간편한 수의・카탈로그 계약을 가능케 하는 제도로 2020년10월에 시행됐다. 제도 시행 후 3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누적 디지털서비스 계약금액 4000억원을 돌파하는 등 공공 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유통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 등록된 총 400개의 디지털서비스 중 중소기업의 서비스가 287개(71.8%)다. 전체 계약건수 1009건 중 중소기업의 계약 건수가 699건(69.3%)을 차지하는 등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가 중소기업의 공공 시장 판로 개척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부·지자체·공공기관과 기업, 학계 등 클라우드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이용 촉진을 위한 다양한 사례 및 기술 트렌드 등을 공유했는데, 이화여대 양희동 교수가 ‘SaaS를 통한 공공 디지털 혁신’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하며 막을 열었다.
8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 ‘2023년 민간 SaaS의 공공 이용 우수사례 공모전’ 시상식도 진행됐다. 시상식에는 KT클라우드의 협업툴 ‘비즈웍스’, 포시에스의 전자계약 SaaS ‘이폼사인’, 네이버클라우드의 협업툴 ‘네이버웍스’, NHN두레이의 협업툴 ‘두레이’ 등이 활용된 우수사례 발표도 이어졌다.
과기정통부 엄열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민간 클라우드 유통 플랫폼인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발판으로, 공공부문에 다양하고 혁신적인 서비스가 신속히 도입돼 공공 혁신을 촉진하고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NIA 황종성 원장은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운영 및 개선, 공공 SaaS 개발·검증 지원, 디지털서비스 이용·확산 사업 등을 통해 디지털서비스의 ‘개발-유통-구독’의 선순환 생태계 조성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현장] ‘탈TV·탈모바일’ CJ온스타일, 성수서 독보적 행보…“발견형 쇼핑의 정점”
2025-04-03 12:00:00[이음5G 현황上] ‘철도·공항’ 교통 인프라 내 구축작업 속도…5G 특화망, 어디까지 왔나
2025-04-03 10:01:43SKT, 데이터 기업 ‘케플러’와 AI B2B 협업...AI 마켓 인텔리전스 고도화
2025-04-03 09:16:00“美 USTR, 해외CP에만 망사용료 요구하는 것처럼 호도”
2025-04-02 19:00:20"ESG·거버넌스 개선"…엔터 빅4, 경영 혁신 칼 뽑는다
2025-04-03 11:49:20“애물단지인 줄 알았는데”… 넥슨 ‘마비노기 모바일’의 반전
2025-04-03 11:48:41'창립 20주년' 야놀자, "AI로 여행산업 혁신…글로벌 리더 도약"
2025-04-03 11:42:54틱톡, 엔터테인먼트 서밋 성료…"K-엔터테인먼트와 시너지 모색"
2025-04-03 11:30:20"글로벌 확장 통했다"…리디,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 달성
2025-04-03 10: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