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도티, 슈카 등 유명 유튜버가 소속된 다중채널네트워크(MCN) 기업 샌드박스네트워크가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이하 NFT) 사업에 뛰어든다.
24일 샌드박스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더 샌드박스‘의 제작 아티스트 권한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앞서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지난 2020년 4월 더 샌드박스와 초기 파트너십 제휴를 맺은 바 있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더 샌드박스 플랫폼 내에서 복셀(Voxel, 게임 내 3D 픽셀)로 NFT 자산을 제작할 예정이다. 또 이를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판매할 계획이다.
또한 샌드박스네트워크는 더 샌드박스 내 부동산인 ‘랜드’에 크리에이터와의 협업 콘텐츠를 NFT 형태로 거래할 수 있는 메타버스 공간을 구현한다.
자체 개발한 ‘플레이투언(Plat to Earn, P2E)’ 게임도 선보인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과 기술협약을 체결하고, PFP NFT(Profile Picture NFT, 프로필 사진형 NFT)를 1분기에 출시한다. 이 NFT를 활용해 이용자가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게임인 ‘메타 토이 드래곤즈(Meta Toy DragonZ)’도 상반기 내에 출시할 예정이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게임 기획부터 개발, 유통, 서비스 전 과정을 진행하는 내부 게임 스튜디오팀을 지난 2020년 신설했다. 또 지난해 국내 최초로 소속 크리에이터 지식재산권(IP)을 이용한 게임을 제작하는 등 행보를 보여왔다. 올해는 이용자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게임 플랫폼으로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샌드박스네트워크의 게임 스튜디오를 총괄하고 있는 한장겸 부문장은 “샌드박스네트워크의 더 샌드박스 제작 아티스트 권한 획득은 앞으로 선보일 NFT 기반 게임 비즈니스의 첫 신호탄”이라고 말했다.
이어 “게임 제작 역량과 Z세대 타깃 IP 발굴 노하우를 함께 갖춘 샌드박스만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메타버스와 NFT 중심으로 변화하는 콘텐츠 환경에서 앞서나가는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DD퇴근길] "세상에서 가장 얇은 폰"…삼성, '갤럭시 언팩'서 보여준다
2025-05-12 17:17:23[컨콜] SKT, 대규모 고객 이탈에 “신뢰 확보 위한 비용 지불 불가피”
2025-05-12 17:08:02라이즈, 엠넷플러스 오리지널 예능 '숨바꼭질' 세 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5-12 17:54:22kt밀리의서재, 창사 이래 분기 최대 실적…'텍스트힙' 열풍 통했나
2025-05-12 17:54:08구글, 또 다시 지도 반출 요청…“국가 경쟁력 위태” 산업계·학계 우려
2025-05-12 17:53:33미니쉬테크놀로지, 美 LA서 공개한 '헬스테크' 청사진은?
2025-05-12 17:31:44"흑백요리사2만 믿는다"…'백종원 방송' 편성, 넷플릭스에 달렸다?
2025-05-12 17:1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