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이상일 칼럼

[취재수첩] 위기의 P2P대출, 대형 플랫폼 사업자 구원투수 될까?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카카오페이가 새로운 금융 서비스로 ‘카카오페이 투자’를 20일부터 서비스한다. 이 서비스는 10% 안팎의 수익률을 제공하는 중위험·중수 상품에 모바일로 투자할 수 있는 서비스다.

카카오페이는 우선 ▲개인 신용 ▲매출 채권 ▲아파트 담보 투자 상품을 시작으로 주식·채권 투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처음에는 부동산 P2P 대출 및 증권형 크라우드 펀딩 상품 중개 서비스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를 위해 피플펀드 등 P2P 투자 서비스들과 제휴를 통해 투자 상품을 중개한다. 향후 상품군과 파트너사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페이는 ‘카카오페이 투자’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전문 금융서비스 업체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바로투자증권을 인수하기도 한 카카오페이로선 본격적인 전문금융서비스 역량에 대한 첫 시험 무대인 셈이다.

공교롭게 19일 금융감독원은 ‘P2P 대출 취급실태 점검결과 및 향후 계획’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3월부터 약 7개월간 조사된 P2P 대출업계의 실태는 충격적이었다. 허위 상품·담보, 부실공시 등을 통해 모집한 투자금을 편취한 후 타사업 및 P2P 업체 운영경비, 개인용도 등으로 임의사용한 경우가 드러났다. 금고에 가짜 골드바를 전시해놓은 사진과 골드바 위조 보증서를 홈페이지에 게시해 투자자를 끌어모으는가 하면 맹지 등을 PF사업장으로 속이는 행위도 있었다.

당초 약속한 투자처에 대출하지 않고 대주주 및 관계자 사업자금에 유용하거나 타대출 돌려막기, 주식·가상통화 투자 등에 임의 사용한 경우도 적발됐다.

대형사도 예외는 아니었다. 상당수 P2P업체는 연체대출을 자기자금으로 대납하거나 타사업 자금으로 돌려 막기해 연체대출이 없는 건실한 업체로 위장했는데 P2P 대출 상위 10위권의 대형사 중 일부회사도 유사 방식으로 연체율을 관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동안 P2P 업체들의 부실운영에 대해선 일부 경찰 조사 등을 통해 드러난 바 있지만 총체적으로 심각한 모럴 헤저드가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조사를 통해 드러난 것이다. 물론 이는 P2P 업체 모두의 일은 아니다.

9월말 현재 금융위원회에에 등록한 P2P 연계대부업자는 193개사이며, 전체 누적대출액은 4.3조원, 대출잔액은 1.7조원 수준으로 누적대출액이 1000억원 이상인 업체는 12개사이며, 합계 2.4조원으로 전체 대출규모의 56.3% 차지한다.

사실상 10여개 업체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고 나머지 100여개 업체들이 난립하고 있는 양상인데 대부분 소형 업체들을 중심으로 모럴 헤저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투자한 고객이 피해를 입은 사례도 속속 드러나는 등 P2P 대출에 대한 시장의 불신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카카오페이도 이러한 시장의 우려를 의식한 듯 이중의 심사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한다. 카카오페이만의 독자적인 심사 프로세스를 통해 건전한 P2P 업체와 양질의 상품을 걸러내겠다는 의도다.

오용택 카카오페이 투자운용 수석매니저는 “우수한 파트너를 선택해 상품에 대한 심사를 하고 우리의 기준에 맞춰 리스크를 측정한다. 우려했던 부분은 안심해도 좋을 것 같다”며 “부동산 PF가 문제가 된 것은 제대로 된 운영인력이 상품을 제대로 못 만들었기 때문이다. 일반 증권사에서 운용되는 PF는 문제가 발생한 적이 없다”고 강조한다.

업계에서는 P2P기업의 상품을 중개하는 대형사들의 출현이 P2P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다. 카카오페이 뿐만 아니라 간편송금 업체 ‘토스’와 간편결제 서비스 ‘삼성페이’도 P2P 금융상품을 자신들의 플랫폼을 통해 중계하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들 모두 고유의 금융 서비스 영역에서 새로운 금융 서비스로 확장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는 내년에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새로운 성장을 위한 도전인 만큼 고객의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면에서 그들의 선택지 중 하나가 P2P 영역이라는 점은 P2P 시장이 리스크를 감수할 만큼 만큼 성장 역량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대형 중개업체의 시장 참여는 장기적으로 P2P 시장을 건강하게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전망이다. 과연 대형 업체들의 참여가 P2P 금융을 음지에서 양지로 이끌어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