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마블이 본격적인 북미 진출을 알린 시기는 지난 2015년이다. 그해 넷마블몬스터가 개발한 모바일 역할수행게임(RPG) ‘마블 퓨처파이트’를 세계 시장에 출시했다. 넷마블은 유명 지식재산(IP)의 파급력을 일찍이 간파한 회사 중 하나다. 마블 퓨처파이트의 경우 마블 영화와 연계한 이벤트, 업데이트를 통해 세계 시장에서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는 넷마블의 글로벌 흥행작으로 자리매김했다.
지난 2월 인수를 완료한 카밤 밴쿠버 스튜디오와의 협력도 기대를 모은다. 이 회사가 개발한 ‘마블 올스타 배틀’은 2014년 12월 출시 이후 북미 앱스토어와 구글플레이에서 매출 톱10에 꾸준히 진입하며 5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북미 유력 게임사 인수합병(M&A)을 통한 서구권 직접 진출은 2015년 에스지엔(현 잼시티)가 첫 사례다. 넷마블은 당시 에스지엔에 1억3000만달러를 투자했다. 잼시티는 지난 5월, 인기 애니메이션 ‘패밀리가이’ 지식재산(IP)을 활용한 신작(Family Guy: Another Freaking Mobile Game)을 출시해 주목받았다.
국내 개발 게임을 세계 시장에 출시해 인기를 끈 사례도 있다. 모바일 RPG ‘레이븐’(글로벌 버전 이블베인)이다. 레이븐은 국내와 달리 모바일 RPG에 친숙하지 않은 해외 이용자들을 고려해 성장의 재미를 빨리 느낄 수 있도록 초반 성장구간을 조정하고 스토리 콘텐츠를 보다 집중해서 즐길 수 있도록 최적화했다.
방준혁 의장은 지난 1월 열린 제3회 NTP에서 “판이 불리하다면 판을 바꿔야 한다”며 한국 게임사가 가장 잘하는 장르인 RPG의 세계화를 통해 굴지의 외국계 게임기업들과의 정면 승부를 시사한 데 이어 "한국형 RPG가 글로벌에서 좋은 성과를 내서 한국 게임 회사들도 좋은 결과가 나오도록 넷마블이 개척하고 앞장서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넷마블은 이번 상장으로 최대 5조원을 조달할 수 있는 여유를 확보했다. 권영식 넷마블 대표는 지난 5월 “2조원대 공모자금에 레버리지를 통해면 5조원까지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추가적인 대규모 인수합병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서구권 진출 전략은 처음부터 현지에 맞춰 재개발을 거친 북미형 게임 또는 현지 게임사 인수를 통한 직접 진출을 거론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AI 학습데이터 확보 온힘...’그랜드데이터’ 협력사 확장
2025-04-06 12:25:32’독점공개’ 전략 접은 KT…“OTT에도 지니TV 오리지널 콘텐츠 공급”
2025-04-06 12:20:00통합만 해왔던 미디어+ICT 거버넌스, 올바른 개편 방향은? [IT클로즈업]
2025-04-06 07:00:00머스크의 스페이스X, 8.6조원 규모 美 국방부 위성 사업 수주
2025-04-05 12:47:15[OTT레이더] “이병 성윤모…” 본격 군생활 코미디 드라마가 돌아왔다
2025-04-05 11:08:27[이음5G 현황下] 확산 한계치 도달?...“DX본격화 되면, 수요 급증” 전망도
2025-04-04 19:46:29[툰설툰설] 야구의 계절이 돌아왔다…'기프트' vs '리듬 앤 베이스볼'
2025-04-06 14:06:37[랜선인싸] 낮엔 의사, 밤엔 AI 크리에이터…'닥터포포'의 아트 세계
2025-04-06 12:22:16[콘텐츠뷰] '내가 죽기 일주일 전'…달콤쌉쌀한 인생의 다크초콜릿
2025-04-06 11:31:38[윤석열 파면] 막 오른 조기대선, 2030 표심에 ‘게임 공약’ 다시 부상하나
2025-04-05 12:46:43[윤석열 파면] "네이버·다음 프로필, 前 대통령"…페북·인스타 소개글은?
2025-04-04 18:23:30엔시티 위시, 엠넷플러스 '숨바꼭질' 두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4-04 17:4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