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클라우드

SKT, ‘클라우드베리’ 출시…“누구나 쓰는 개인형 클라우드”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SK텔레콤이 T전화, T맵을 개방한 데 이어 누구나 쓸 수 있는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동통신사와 상관없이 누구나 쓸 수 있다. 기존에 제공하던 T클라우드의 경우 12월 31일까지만 운영한다. 기술적으로는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인 ‘오픈스택’을 적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19일 SK텔레콤(www.sktelecom.com 대표이사 사장 장동현)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특화 개인형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베리(CLOUDBERRY)’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현재 안드로이드 기반 플레이스토어와 원스토어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iOS용 앱은 현재 앱스토어 심사가 진행 중이다.

‘클라우드베리’는 대부분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가입하는 탓에 사용하는 이동통신사를 변경할 경우 서비스를 계속 이용할 수 없었던 기존 ‘T클라우드’의 한계를 넘어 데이터 보관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아이디(ID)’ 체계를 도입했다는 설명이다.

다만 현재 통신사에 따라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저장용량은 다르다. SK텔레콤 고객의 경우 36GB이며, 타사 사용자의 경우 18GB다. 조만간 타사 가입자에게도 자사 가입자와 동등한 수준으로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클라우드베리는 사진·영상 등 데이터 관리 편의를 대폭 강화하고 ▲사생활 보호 및 보안기능의 추가 ▲스마트폰 데이터의 안심 저장 및 복원 등 다양한 기능을 더해 ‘데이터 임시 저장공간’ 정도로 쓰이는 현재의 모바일 클라우드 활용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SK텔레콤 측은 “‘클라우드베리’는 클라우드에 저장된 사진만을 관리할 수 있는 기존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달리, 사용 중인 스마트폰 속 사진·영상과 클라우드에 저장된 사진·영상을 한 화면에서 보며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진이나 영상이 저장될 때는 월별로 자동 생성된 폴더로 나눠서 보관할 수 있으며, ‘찾기’ 기능을 통해 DSLR 같은 특정 기기에서 찍은 사진만 모아서 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진 갤러리 상단에 연도별로 가장 많은 사진이 촬영된 날의 이미지를 표시해주는 ‘랜드마크’ 기능이 제공된다. ‘랜드마크’는 통상적으로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한 순간에 사진을 많이 찍는다는 점에 착안해 사용자들이 최대한 빨리 보고 싶은 사진을 찾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기능이다. 사생활 보호를 위해 ‘숨김폴더’와 ‘파일 암호화’ 기능도 제공한다.

‘숨김폴더’는 ‘클라우드베리’의 기본 저장공간과 분리된 별도의 저장공간으로 중요한 사진이나 문서를 따로 저장할 수 있다. ‘숨김폴더’를 열기 전까지는 생성상태는 물론, 사용량 정보도 표기되기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몇 개의 ‘숨김폴더’를 만들어서 사용하는지조차 알 수가 없다. SK텔레콤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36GB 가운데 ‘숨김폴더’를 위한 용량은 4GB이며, 타 통신사 고객의 경우 18GB 가운데 2GB를 ‘숨김폴더’로 제공한다.

스마트폰 데이터의 이전이나 복원에 대비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의 각종 데이터에 대한 손쉬운 저장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특징이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의 경우 주소록, 문자, 통화기록, 일정, 웹브라우저 북마크,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알람, 배경화면, 벨소리, 일부 시스템 설정값(진동 여부, 화면 회전여부, 볼륨 크기, 화면 밝기 등) 등 11개 항목을 저장할 수 있으며, iOS 기반의 스마트폰은 주소록과 일정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오는 12월 31일 종료 예정인 ‘T클라우드’ 고객들은 ‘클라우드베리’의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통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손쉽게 옮길 수 있다. ‘클라우드베리’는 해당 기능을 ‘T클라우드’의 종료 시점인 오는 12월 31일까지 제공한다.

SK텔레콤 위의석 상품기획부문장은 “앞으로도 모바일 디지털 자산의 안전한 관리와 편의성, 연속적 사용성을 지원하고 확장하는 궁극적 클라우드 서비스로 진화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