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200만평방미터. 서울 상암 월드컵경기장 10개와 맞먹는 규모다.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조성해 현재 4만명 이상의 사람이 일을 하고 있는 곳. 중국 선전 화웨이 본사다. 이곳에는 업무용 빌딩뿐 아니라 병원 상가 수영장 등 공원과 편의시설, 직원 및 방문객 숙소 등 각종 부대시설이 모여 있다. 심지어 임직원 교육을 위한 대학도 있다.
건물과 건물을 왕복하려면 셔틀버스를 타야하고 주변은 모두 공원이다. 검은 백조가 노니는 호수까지 있다. 창업자 런정페이 최고경영자(CEO)의 집무실은 호수 옆에 자리를 잡았다. 화웨이는 런 CEO와 3명의 부회장이 6개월씩 돌아가며 경영을 하는 순환 CEO제를 실시하고 있다. 지분은 종업원과 공유한다. 2012년 기준 런 창립자 지분율은 1.18%. 나머지는 전현직 화웨이 임직원이 갖고 있다. 월급쟁이의 천국이다. 중국 정보통신기술(ICT) 업계 인재가 몰려드는 것도 당연하다.
화웨이의 작년 매출은 388억달러. 2018년까지 700억달러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지금은 매출의 70%가 네트워크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에 엔터프라이즈 사업과 컨슈머 사업이 성장하면 무리한 목표가 아니라는 것이 화웨이의 설명이다. 화웨이의 강점은 네트워크 장비와 칩셋 그리고 단말기로 이어지는 수직계열화다. 삼성전자와 유사한 사업구조를 갖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지난 3분기 화웨이의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은 1650만대다. 5.1% 점유율로 전 세계 5위를 차지했다. 3위 샤오미와 차이는 150만대에 불과하다. 샤오미 LG전자 화웨이 ZTE는 현재 스마트폰 3위를 두고 엎치락 뒤치락 중이다. 이들과 견줘 화웨이의 강점은 삼성전자처럼 수직계열화다. 화웨이 장비가 들어가면 칩셋과 기기도 채용할 수 있는 여지가 는다. 반대도 기대할 수 있다.
올리버 우 화웨이 디바이스 동아시아지역 총괄도 “화웨이는 기기 사업만을 보고 있지 않다. 중요한 부분은 네트워크 사업이다. 한국 시장에서 가장 우선하고 있는 것은 생존이다”라며 한국은 화웨이 스마트폰 공급처 중 하나라는 점만으로 화웨이의 전 세계 전략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선전(중국)=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기업은행에 AI 피싱탐지 기술 적용…“사전테스트서 6억원 손실 예방”
2025-04-08 09:46:18법원, 신동호 EBS 신임사장 임명 제동…집행정지 신청 인용
2025-04-07 17:31:11유상임 장관, 잔여 임기 과제는… "GPU 보릿고개, 추경 절실" (종합)
2025-04-07 14:07:45[일문일답] 유상임 장관 “남은 임기 2개월 남짓…ICT 발전 위해 최선”
2025-04-07 13:35:25과기정통부, 6G 리더십 확보한다…저궤도 위성통신 R&D 착수
2025-04-07 11:00:00저작권 단체, 문체부 시정 명령 무시...음저협 회장은 보수 79% 인상
2025-04-08 11:00:22위믹스 상폐 우려... 한국 블록체인 게임 시장 뒷걸음질할라
2025-04-08 10:59:21‘국민게임의 귀환’ 블로믹스, ‘포트리스HG’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2025-04-08 10:05:21김병기 의원, 게임이용자 보호를 위한 게임산업법 대표발의
2025-04-08 09:42:18[단독] 남성판 '호텔 델루나'…신작 '그랜드 갤럭시' 넷플릭스行
2025-04-07 17:3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