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권유승 기자] 카카오뱅크는 안전한 금융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AI 스미싱 문자 확인'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8일 밝혔다.
‘AI 스미싱 문자 확인‘ 서비스는 카카오뱅크 앱에서 의심가는 문자를 복사·붙여넣기 하면 ‘스미싱 위험이 높은 문자’, ‘안전한 문자’, ‘단순 스팸 문자’, ‘판단이 불가능한 문자’ 등 4가지 케이스의 답변을 받을 수 있어 해당 문자의 신뢰도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기준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카카오뱅크 고객이라면 9일부터 모바일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악성 앱 URL이 포함된 휴대폰 문자를 전송하고 앱 설치를 유도하여 금융정보 등을 탈취하는 전기통신금융사기 수법 중 하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7월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사이버위협동향'에 따르면 2022년 3만 7천 건에 불과했던 스미싱 탐지 건수는 2023년 50만 건, 올해 6월 89만 건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카카오뱅크는 스미싱 문자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근거를 작성하는 데에 고성능 AI 언어모델 '버트(BERT)'와 카카오뱅크 금융기술연구소가 자체 학습시킨 거대 언어 모델(LLM)을 사용했다. 파인 튜닝을 거친 생성형 AI 모델에 금융 사기 및 스미싱 문자와 관련한 데이터를 학습시켜 판단 근거까지 설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스미싱 위험이 높다고 판단될 경우 '이 문자는 스미싱 위험이 높아요'라는 문구와 함께 '출처가 불분명한 URL을 포함하고 있다' '배송 사기 스미싱의 한 사례' 등 판단 근거까지 안내해 준다.
카카오뱅크는 신분증 촬영 및 인식, 안면 인증, 무자각 인증 등 금융 인증·보안 솔루션 자체 개발을 통해 기술은행으로서 금융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 왔다. 뿐만 아니라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악성 앱 탐지 서비스', '지연이체 서비스', '입금계좌 지정 서비스' 등 금융사기 피해 예방 서비스도 다각도로 운영해오고 있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와 협업한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는 본인도 모르게 개통된 휴대전화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 추가 개통을 차단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출시 이후 지난 11월까지 누적 이용 건수만 약 120만 건을 넘어서는 등 제3자가 동의 없이 휴대전화를 개통해 범죄 조직 연락책으로 이용하거나 자산을 편취하는 범죄 피해로부터 고객을 선제적으로 보호하는 데에 보탬이 되고 있다.
‘악성 앱 탐지 서비스’는 휴대폰에 악성 앱 설치 여부를 탐지하는 탐지 솔루션으로, 고객에게 악성 앱 설치 여부를 팝업으로 보여주고 고객이 직접 삭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서비스다. 카카오뱅크는 이 외에도 이용자가 설정한 일정시간 이후에 이체를 실행시키는 ‘지연이체 서비스’, 지정한 입금계좌로만 이체할 수 있는 ‘입금계좌 지정 서비스’ 등 금융사기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 9월 출시한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도 출시 약 두 달 만에 약 2만 5천여 명의 고객이 이용하는 등 호응을 얻고 있다. 이 서비스를 통해 고객들은 대출, 신용카드 발급 등 신규 여신거래를 차단해 본인도 모르는 사이 실행된 대출 등으로 인한 금전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금융사기 탐지·방지 등 우수한 혁신 기술을 보유한 핀테크 기업을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스미싱은 불법대출 등 직접적인 금융 사기와 연관이 높은 만큼 실시간으로 검증해 예방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모바일 금융 시대에 이용자들이 안심하고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X가 살길” KT, 수익창출 의지 강조…구조조정·부동산 매각 논란 ‘도마위’(종합)
2025-03-31 14:38:28LG헬로비전, '헬로 리더스 어워드' 개최 …케이블TV 정책 성과 전국에 공유
2025-03-31 13:07:25“KT는 통신사”vs“무분별한 자산 매각”...주총서 부동산 매각 두고 설전
2025-03-31 13:06:55케이블TV 만난 與…“미디어의 중요한 축, 정책적 뒷받침 필요”
2025-03-31 12:27:56KT 김영섭 “비합리적 구조조정 없었다…자회사로 재배치, 퇴직금 보상할 것”
2025-03-31 12:27:13KT 김영섭 “AX로 기업가치 향상 가시화…AI시장 개척 주도”
2025-03-31 12:09:18명품 플랫폼 '발란', 결국 기업회생절차 신청…"M&A 추진"
2025-03-31 13:53:01[현장] 감독부터 배우까지 한 목소리…"악연, 선택 이유? 강렬한 스토리"
2025-03-31 12:08:00게임업계, 기부 릴레이… 산불 피해 복구에 소매 걷었다
2025-03-31 11:47:30‘리니지’ 시스템 인정 받은 엔씨, ‘리니지라이크’ 경고등 켜졌다
2025-03-31 11:43:58"얼죽아 늘고, 저속노화 관심"…배민이 꼽은 올해 외식 키워드는?
2025-03-31 11:26:34넷마블, 정기주총서 김병규 단독대표 체제 전환… “올해는 재도약 변곡점”
2025-03-31 11:1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