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최근 5년간 이동통신3사가 일으킨 통신장애 사고건수가 총 14건으로 집계됐다. 또 피해회선 수는 3000만 회선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과학과학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 년간 통신장애 현황 에 따르면 통신사별 장애 건수는 KT 5건, SK 브로드밴드 5건, LG유플러스 4건이었다 .
가장 피해 규모가 컸던 건은 2021년 10 월25일 발생한 KT의 전국 인터넷망 장애로, 약 3000만 회선이 해당됐다.
이 사고는 2021년 오전 11시20분쯤부터 1시간동안 발생했다.
라우팅(네트워크 경로설정) 오류에 의한 것으로, KT의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에서 장애가 일어났다.
통신장애 가운데 지속 시간이 가장 길었던 사례는 지난해 9월5일 동북선 전철 터널 공사 중 SK 브로드밴드 광케이블이 잘리면서 일어난 서울시 성동구 일부 지역 인터넷 중단으로 13시간19분간 장애가 이어졌다.
황 의원은 “통신사고는 음식점 등 소상공인, 자영업자 하루 매출 전부를 날릴 수도 있는 중차대한 사안이지만 통신사들이 보상·배상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기업들의 책임이 강화돼야 한다 ”고 강조했다.
또 최근 발생했던 유선 인터넷 장애 사고에 대해 “KT와 SK 브로드밴드가 소상공인 요금 한 달 치를 감면하겠다고 했지만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며 “실제 피해액 수준의 보상·배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조사 추진…"관리감독 철저히 할 것"
2025-04-22 11:39:36SKB, SK캐미칼 보유 울산 토지 매입…AIDC 건설 본격화 전망?
2025-04-22 10:32:32SKT, 사내 시스템서 해킹사고 발생…유심 정보 유출 정황
2025-04-22 10:00:00LGU+, 의료 상담 특화 AICC로 ‘스마트 병원’ 만든다
2025-04-22 09:27:30국민 절반 이상 “구글에 정밀지도 반출 반대”…안보·주권 우려가 가장 커
2025-04-22 19:54:05"이젠 기업이 선택받는 시대…초핵심 인재 확보가 성패 가른다"(종합)
2025-04-22 17:51:03[DD퇴근길] "11일만에 매출 100억"…넷마블, 'RF온라인'으로 재도약 시동
2025-04-22 17:09:02[현장] ‘컬쳐핏’은 옛말, 올해 채용 키워드는 ‘모티베이션 핏'
2025-04-22 16:12:24국립저작권박물관·홍대 맞손…젊은 창작자 영상작품 특별전시 개최
2025-04-22 15:0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