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건강정보

영유아 노리는 ‘수족구병’ 비상, 우리 아이 지킬 예방수칙은?

[ⓒ 질병관리청]
[ⓒ 질병관리청]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0~6세까지 영유아 층에서 수족구병이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

29일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에 따르면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 영유아(0~6세)에서 외래환자 1000명당 수족구병 (의사)환자 분율은 7월3주(7.14~7.20) 기준 78.5명으로, 과거 최고 수준을 기록했던 2019년(7.14.~7.20. 77.6명)보다 환자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족구병 발생 연령은 18세 이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0~6세 78.5명/1000명, 7~18세 18.2명/1000명으로 모두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최근 3~4년 동안 수족구병 유행이 크지 않아 지역사회 내 집단면역력이 낮아지면서, 면역력이 약하고 개인위생이 취약한 영유아를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족구병 걸렸는데 또 감염 가능…증상은?

수족구병 주요 원인 병원체는 엔테로바이러스의 일종인 콕사키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으나 세부 종류가 다양하고, 그 외에 에코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71형(EV-A71) 등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전에 수족구병에 걸렸더라도 원인 병원체가 다르면 다시 걸릴 수 있다는 뜻이다.

주요 감염경로는 손 등을 통한 분변-구강 감염, 환자의 침, 가래,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을 통한 비말 감염, 피부의 물집에 직접 접촉 감염으로 다양하다. 환자가 만진 오염된 물건을 만진 손과 입을 통한 감염도 가능해 개인위생이 취약하고 집단생활을 많이 하는 영유아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수족구병에 걸리면 발병 후 2~3일 동안 발열, 식욕부진, 인후통, 무력감 등이 나타나다가 호전되면서 7~10일 내 저절로 없어진다. 다만, 간혹 중증 합병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어 38도 이상의 고열, 팔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구토,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면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수족구병은 특별한 치료제가 없으나, 증상 완화를 위해 대증요법을 사용한다. 발열이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해열진통제를 사용한다. 다만, 이 경우 아스피린은 사용하지 않는다. 입안 궤양으로 삼키기가 고통스러워 수분을 섭취하지 않아 심각한 탈수현상이 발생한 경우, 정맥용 수액 치료에 나선다.

◆예방백신 없는 수족구병, 위생수칙 준수해야

수족구병은 예방백신이 없어 손씻기 등 개인위생 및 환자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수족구병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영아의 기저귀 뒤처리 후, 환자를 돌본 후 반드시 손을 씻고, 배설물이 묻은 의류는 깨끗하게 세탁하는 등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며, 생활용품을 따로 사용하는 등 가족 구성원 간 감염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는 장난감, 놀이기구, 문 손잡이 등 손이 닿는 집기 및 주변 환경의 소독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고, 영유아가 식사 전‧후, 화장실 사용 후 손씻기 등 개인 예방수칙을 잘 지키도록 해야 한다.

수족구에 걸린 영유아는 전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어린이집 등의 등원을 자제하는 것을 권고한다. 증상이 나타난 어른도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직장에 출근하지 말 것을 권장한다.

만약, 수족구병이 발생했다면 환자가 만진 물건 등은 소독액을 뿌린 후 10분 후에 물로 씻어내야 한다. 소독을 할 때는 창문을 연 상태에서 실시하고, 소독 후에는 충분히 환기해야 한다. 소독액은 가연성 물질에 가까이 두지 말고, 사용 후 소독효과가 떨어지므로 보관하지 말고 버릴 것을 권장한다. 소독 후에는 반드시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수족구병은 아직 예방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손씻기 등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며 “특히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수족구병 예방관리를 위해 손씻기 및 장난감을 포함한 물품 소독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요청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