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반도체

인텔, 30년만에 메모리 칩 본격 투자… 中다롄 공장에 6.2조원 투자

- 내년 하반기 3D 낸드플래시 양산, 궁극적으로는 3D X포인트도 생산할 듯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인사이트세미콘]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한 발짝 물러서 있던 인텔이 관련 시장에 재 진입한다.

20일(현지시각) 인텔은 중국 다롄에 위치한 시스템반도체 공장을 메모리 공장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작업에는 최대 55억달러(한화 약 6조2000억원)가 투입된다. 2010년 양산 가동에 돌입한 인텔 다롄 공장에선 현재 65나노 공정 시스템 칩이 양산되고 있다. 인텔은 라인 전환을 통해 내년 하반기부터 3D 낸드플래시를 양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간 인텔은 마이크론과의 합작사 IM플래시테크놀로지(IMFT)를 통해 낸드플래시 칩을 공급받아왔다. 그러나 엔터프라이즈 데이터센터 분야의 성장성이 높다고 판단, 다시금 투자에 나선 것이다. 인텔은 1985년 D램 사업을 포기한 이후 메모리 분야에선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왔었다. 말하자면 30년 만에 다시 메모리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드는 셈이다.

이번 투자로 인텔은 플래시 메모리로 대표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전원을 꺼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제품) 시장에서 삼성전자, 도시바, SK하이닉스와 직접 경쟁을 펼치게 될 전망이다. 기술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곤 하나 영업 측면에선 마이크론도 일정 부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인텔은 PC와 서버의 중앙처리장치(CPU)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저장장치를 CPU와 ‘묶음상품’으로 판매할 수 있다는 의미다. 기존 낸드플래시 업체들에게 인텔의 재투자 움직임은 달갑지 않은 소식인 것이 사실이다.

다롄 공장에선 마이크론과 공동으로 개발한 3D X포인트 메모리도 양산될 가능성이 높다. 3D X포인트 메모리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시간이 기존 낸드플래시 대비 1000배 빠르고, 재기록 횟수를 나타내는 내구성은 1000배 높다. 인텔은 지난 8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인텔개발자포럼(IDF) 2015에서 이 메모리를 탑재한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옵테인(Optane)’을 선보인 바 있다. 내년부터 판매가 시작되는 이 제품은 빠른 속도와 높은 내구성을 무기로 빅데이터 처리용 스토리지 시장을 파고들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롭 크루크 인텔 비휘발성 메모리 솔루션 그룹 수석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는 “올해 매 분기 인텔의 SSD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성장했다”며 “비휘발성 메모리 기반의 SSD는 높은 성장세를 바탕으로 인텔의 핵심 컴퓨팅 사업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반도체 업계, 중국 생산에 주목

인텔이 중국 다롄에서 차세대 3D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생산한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사안이다. 인텔은 그간 해외 공장에는 차세대 기술을 반출하지 않았다. 본사에선 14나노, 22나노 공정 칩을 양산했지만, 중국 다롄에선 65나노 노후 공정 체제를 유지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따라서 인텔의 이번 결정은 메모리 투자를 원하는 중국의 요구가 어느 정도 받아들여져 이뤄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2014년 기준 중국의 반도체 수입량은 연간 2000억달러를 상회했다. 석유 수입량과 맞먹거나 웃도는 수치인 것으로 전해진다. 자국에 반도체 공장이 지어지면 ‘수입대체’ 효과가 적지 않다. 삼성전자의 경우 중국 시안에 3D 낸드플래시 공장을 가동 중인데 현지 시 정부는 부지 임대료를 면제해주고 전용 고속도로를 깔아주는 등 등 파격적인 혜택을 준 것으로 전해진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중국 우시에 D램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업계의 관계자는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중국의 의지가 실행에 옮겨지고 있다”며 “이제 중국에선 고집적 시스템반도체 뿐 아니라 낸드플래시, D램과 같은 메모리 제품군도 모두 생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주엽 기자>powerusr@insightsemicon.com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