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특집

4G 기술의 실체…이동중 100Mbps, 정지상태 1Gbps 전송

[4G포럼] 전송용량 3G의 100배, ITU ‘IMT-Advanced’ 공식명칭으로 결정

삼성전자가 제주에서 4G포럼을 개최하면서 4G 기술과 서비스를 시연하자 관련 기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4세대 통신으로 불리는 4G는 이동 중 100Mbps, 정지 상태에서는 1Gbps급 속도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기술이다. 이 기술은 지난 2005년 10월 ITU(국제전기통신연합)가 ‘IMT-어드밴스드(advanced)’를 공식 명칭으로 결정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의 3G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세대의 통신 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여전히 4G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다. 4G의 주파수 밴드와 대역폭은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현재 후보 주파수로는 410~470MHz, 614~806/862MHz 및 3.4~4.2GHz가 유력한 상황이다. 또, 가변 대역폭(Scalable 대역폭)은 5/10/20/40/100MHz가 될 전망이다. 4G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보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있다. 현재 가장 빠른 3G보다 10~100배(100Mbps~1Gbps)의 전송 용량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All IP환경을 위한 패킷 전용 시스템 구현, 주파수 효율성의 향상, 셀 커버리지의 증대 등이 4G의 특징으로 꼽힌다. 서비스 등급을 차별화함으로써 가격대비 전송률을 최적화할 수 있고, 서비스의 효율적 지원을 위해 단말기 하드웨어를 재구성할 수 있는 점도 4G만의 장점이다. 이러한 4G 서비스는 몇 가지 핵심기술로 이루어져 있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SDR(Software Defined Radio) 기술, MIMO(Multiple-Input/Output) 기술,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기술, 스마트 안테나 기술 등이 그것이다. OFDMA는 주파수 대역을 수백 개로 쪼개어 주파수간 간섭을 최소화해 대용량 데이터를 동시에 고속으로 보내는 기술이며, SDR은 주파수범위·변조방식·무선출력 등 주요 무선 특성을 소프트웨어로 업데이트 또는 변경할 수 있는 모뎀 기술이다. 또, MIMO는 여러 개의 안테나로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해 전송 효율을 높여주며, LDPC는 기존 방식에 비해 수신된 데이터의 복호(decoding) 시간을 줄인 효율적인 오류정정기술이다. 스마트안테나는 기지국이 단말에서 보내는 신호를 근거로 사용자 위치를 파악해 해당 사용자에게 전파신호를 집중해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삼성전자는 이번 ‘삼성4G포럼 2006’에서 최고 전송률을 자랑하는 ‘8X8 MIMO 기술’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최대 3.5Gbps까지 전송속도 보장하는 실험 결과도 발표해 관심을 모았다. 기존 무선랜은 1개의 전파가 1개의 경로를 따라 전달되기 때문에 장애물 때문에 신호가 약해졌지만, ‘8X8 MIMO 기술’은 각각 8개의 송신·수신 안테나로 모든 신호를 동시에 주고받기 때문에 3.5Gbps나 되는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다는 게 삼성측의 설명이다. <제주=특별취재팀> mykoreaone@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