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픽사베이]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정부가 2조5000억원 규모로 추진 중인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이 민간 기업의 외면 속에 또다시 무산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13일 오후 5시부로 마감된 재공고 접수 결과, 참여 의사를 밝힌 민간 컨소시엄이 없어 이번 공고가 유찰됐다고 발표했다.
업계에선 예고된 결과로 보고 있다. 당초 기업들은 수익 불확실성과 과도한 민간 부담을 이유로 사업 참여에 난색을 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부는 지난 5월30일까지 1차 공모가 무응찰로 유찰된 이후에도 사업 요건 변경 없이 재공모를 실시했다.
결국 단 한 곳의 컨소시엄도 접수하지 않은 채 사업이 재유찰됨에 따라, 정부는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에 대한 정책 재설계가 불가피해졌다.
실제 과기정통부는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등 관계 부처와 향후 사업 추진 방향을 논의하겠다고 이날 밝혔다.
하지만 AI 인프라 주권 확보를 위한 핵심 사업이 연거푸 무산되며, 정부의 정책 설계 능력과 민관 협력 전략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최대 규모로 추진하는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은 비수도권 지역에 그래픽처리장치(GPU) 3만장 이상 수용이 가능한 1엑사플롭스(EF)급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정부와 민간이 각 51대49 지분으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고, 이를 통해 센터를 운영하는 구조다.
민간 기업들은 그러나 ▲SPC 구조상 민간 책임 과도 ▲매수청구권 조항 ▲정부 의사결정권 과다 등 손해를 감수해야 할 리스크가 크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자칫 출자만 하고 손해만 떠안을 수 있는 구조라는 인식이 쏠리면서, 업계에선 ▲SPC 내 민간 지분 확대 ▲GPU 우선 공급권 보장 ▲운영 자율성 확보 등 보다 근본적인 설계 변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디어 거버넌스, 국민이 만든다…국정위, '미디어혁신 범국민협의체' 출범 논의
2025-07-16 18:56:17CJ CGV 기술특별관, 북미서 흥행가도…역대 최고 수익 달성
2025-07-16 16:30:24방통위, KT 사실조사 착수…SKT 이용 허위·기만광고 건
2025-07-16 16:29:00“韓 통신시장 리더십 가져가려면, 기업 수요 맞춰 주파수 할당해야”
2025-07-16 16:09:30[취재수첩] ‘산+학+관’ 3단 합체 과기부…AI 좋지만, 정책균형 숙제로
2025-07-16 15:48:36[DD퇴근길] SGI서울보증, 사흘째 먹통…랜섬웨어 공격 원인 밝혀질까
2025-07-16 17:18:25네이버, MIT와 공동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기능 테스트 돌입
2025-07-16 16:09:44위메이드, 웹3 MMORPG '롬: 골든에이지' 사전예약 100만명 돌파
2025-07-16 14:54:39카카오게임즈, 23일 신작 '가디스오더' 온라인 쇼케이스 예고
2025-07-16 14:5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