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보안

시스코, AI 시대를 위한 보안 인프라 혁신 공개

'시스코 라이브 US'서 신제품 및 업데이트 기능 소개

시스코 라이브 [ⓒ시스코]
시스코 라이브 [ⓒ시스코]

[디지털데일리 김보민기자] 시스코가 인공지능(AI) 시대에 맞는 보안 인프라 혁신 방안을 공개했다.

시스코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시스코 라이브 US 2025' 행사에서 차세대 기술을 공개했다고 11일 밝혔다.

지투 파텔(Jeetu Patel) 시스코 총괄 사장 및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시스코는 AI 시대를 위한 핵심 인프라, 즉 AI에 최적화된 보안 네트워크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며 이는 전 세계를 연결하며 글로벌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스코는 오랜 기간 기업 인프라 운영을 지원해 온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제는 차세대 AI를 구동하는 기반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스코는 이번 시스코 라이브 US 2025 행사에서 고객의 에이전틱 AI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신제품과 향상된 기능을 발표했다.

먼저 시스코는 캠퍼스, 지사, 산업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새로운 디바이스와 AI 기반 통합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조직은 사후 대응적인 운영 방식을 넘어, 자율적이고 선제적인 네트워크 관리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시스코의 AI 기반 룸 비전 PTZ(Room Vision PTZ) 카메라는 회의 환경을 몰입감 있는 영화 같은 경험으로 혁신한다. 웹엑스용 시스코 AI 어시스턴트에 탑재된 지라(Jira) 워크플로우 자동화 기능은 협업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웹엑스 AI 에이전트(Webex AI Agent)는 산업별 템플릿을 통해 고객 셀프서비스를 간소화한다.

시스코는 AI 기반 솔루션도 공개했다. 대표적으로는 네트워크와 보안 운영팀 간 실시간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생성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공유 작업 공간 '시스코 AI 캔버스(Cisco AI Canvas)'와, 시스코 제품군 전반에 걸쳐 대화형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코 AI 어시스턴트(Cisco AI Assistant)'가 있다. 새로운 기능의 핵심은 시스코의 '딥 네트워크 모델(Deep Network Model)'이다. 딥 네트워크 모델은 시스코의 기술 교육 콘텐츠 '시스코 U.'의 교육 과정과 CCIE(시스코 공인 인터네트워크 전문가) 교재 등 지식 기반을 학습한 도메인 특화형 대형언어모델(LLM)이다.

시스코는 데이터센터용 컴퓨팅 및 네트워크 솔루션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선보이며 네트워크 대역폭, 지연 시간, 전력 효율성을 특히 중시하는 에이전틱 AI 환경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전력망 강화를 위한 AI 솔루션 채택을 촉진하기 위해 미국전력연구원(EPRI)이 주도하는 글로벌 협의체 'EPRI 오픈 파워 AI 컨소시엄'에 합류했다.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신규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하이브리드 메시 방화벽(Hybrid Mesh Firewall) 및 유니버설 제로 트러스트 네트워크 액세스(Universal ZTNA) 제품군 전반에 걸쳐 혁신을 도입했다. 또한 6100 시리즈와 200 시리즈라는 새로운 방화벽 2종을 공개하고, 시스코 시큐리티 클라우드(Cisco Security Cloud) 전반에 걸친 신규 기능으로 고객이 에이전틱 AI 환경에서의 보안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인수를 마친 스플렁크와의 시너지도 본격화한다. 주요 업데이트로는 스플렁크 옵저버빌리티, 시스코 사우전드아이즈 어슈어런스(ThousandEyes Assurance), 시스코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간의 양방향 통합이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탄력적인 인사이트 기반의 디지털 운영 환경 구현이 가능해진다.

시스코는 네트워크, 보안, 가시성, 협업 등 자사의 전 제품 포트폴리오를 하나로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 관리 플랫폼 '시스코 클라우드 컨트롤(Cisco Cloud Control)'도 선공개했다. 시스코 클라우드 컨트롤은AI 네이티브 도구인 '시스코 AI 캔버스'와 '시스코 AI 어시스턴트'를 기반으로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IT 부서가 제품 간 워크플로우를 통합 실행하고, 문제를 사전에 감지·해결하며, 인프라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