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인터넷

"최인혁 COO 복귀 입장 달라"…네이버 노조, 다시 일어섰다

최인혁 전 COO 복귀 반대 2차 집회 열어…"조직문화·윤리의식 제고해야"

11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네이버 1784' 사옥 1층 로비에서 네이버 노조 '공동성명' 관계자들이 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11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네이버 1784' 사옥 1층 로비에서 네이버 노조 '공동성명' 관계자들이 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디지털데일리 채성오기자] 네이버 노동조합이 최인혁 테크비즈니스 부문 대표 사내 복귀에 대한 사측 입장을 촉구하며 또 한 번 대규모 집회에 나섰다. 단순히 최 대표의 복귀 반대를 넘어 네이버 조직문화와 윤리의식을 돌아보고, 경영진의 책임 회피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는 자리라고 노조 측은 설명했다.

11일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네이버 지회(이하 공동성명)는 네이버 1784 사옥 1층 로비에서 최인혁 전 최고운영책임자(COO) 복귀 반대 2차 집회 'Reboot2.0-불통, 침묵, 퇴행을 거부한다'를 개최했다.

Reboot2.0은 2021년 직장 내 괴롭힘으로 사망한 동료의 죽음을 계기로 책임자인 당시 최 COO의 처벌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했던 첫 집회 'Reboot'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노조 측은 설명했다. 네이버 노조 공동성명 측은 "이번 집회가 단순한 인사의 복귀가 아닌 네이버의 조직문화와 윤리의식을 되돌아보는 변곡점이 될 것임을 상징한다"고 밝혔다.

최인혁 네이버 테크비즈니스 부문 대표. [ⓒ 연합뉴스]
최인혁 네이버 테크비즈니스 부문 대표. [ⓒ 연합뉴스]


노조에 따르면 지난달 15일 최인혁 전 COO가 테크비즈니스 부문 대표로 선임된 이후 노조가 집회, 피케팅, 전 조합원 투표, 공개 질의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반발 의사를 분명히 밝혀왔지만 사측은 현재까지 공식 입장이 없는 상황이다.

이날 열린 2차 집회는 지난달 27일 1차 집회에서 제기한 두 가지 공식 질의에 대해 사측이 끝내 응답하지 않은 데 따른 후속 대응으로, 집회 참가자들은 사측의 책임 회피와 침묵에 항의하는 의미로 마스크를 착용하기도 했다.

지난달 27일 노조 측은 '이사회와 사측의 조직적인 최 전 COO 복귀 지원 의혹' 및 '최 전 COO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책임 유무' 등의 공식 질의사항을 발표한 바 있다.

이수운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네이버지회 사무장이 11일 네이버 1784 사옥에서 열린 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이수운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네이버지회 사무장이 11일 네이버 1784 사옥에서 열린 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노조 측은 올해 3월 당시 퇴사 상태였던 최 전 COO를 위해 회사가 내부 설명회를 개최하고, 접근 불가능한 자료를 기반으로 입장을 소명한 정황이 드러난 데 대해 관련 배경과 책임자 해명을 요구했다. 또한, 고인의 죽음과 관련해 최 전 COO가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의 채용 및 방조 책임이 명백하다고 판단하며, 이에 대한 경영진의 명확한 입장 표명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날 오세윤 공동성명 지회장은 "이번 사태는 조직문화와 책임 경영의 기준이 흔들렸다는 신호"라고 밝혔다. 노조는 이를 바로 잡기 위해 직장 내 괴롭힘, 윤리적 비위,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를 익명으로 제보할 수 있는 온라인 채널 '공동성명 신문고: With us'의 개설 계획도 발표했다.

공동성명 측은 "더 이상 경영진의 침묵과 책임 회피를 좌시할 수 없다"며 "Reboot2.0은 단지 한 사람의 복귀를 넘어서, 네이버가 어떤 가치를 중심으로 조직을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전면적인 질문"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집회에는 카카오 노동조합인 '크루유니언'이 창립 이후 최초 파업의 시작과 함께 연대 의미로 참가했다. 네이버 노조와 카카오 노조가 각기 내부 문제를 넘어 IT 산업 전반의 건강한 조직문화와 책임 있는 경영을 함께 요구한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노조 측은 설명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