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김보민기자] 이재명 정부 출범을 계기로 보안 인력 양성이 속도를 낼지 관심이 주목된다. 대형 해킹 사고가 연달아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보안 전문가 채용과 인식 개선에 대한 정부의 장기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1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의 '사이버보안 인력 수급 실태조사(2024년 기준)'에 따르면, 사이버보안 인력을 보유하지 않은 기업체 중 97.2%는 '사이버보안 인력이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다.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사업 영역이 보안에 위협적이지 않다고 인식한다(31.5%)'는 답이 가장 많았고, '보안이 구축된 외부 서비스(클라우드 등)를 이용해 불필요(25.2%)', '인건비가 부담스러움(23.1%)', '채용이 어려움(20.3%)'이 뒤를 따랐다.
기업 운영에 있어 보안이 후순위로 밀려나며, 인재 채용에 대한 소극적인 인식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한국은 주요국 대비 보안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낮은 국가로 꼽힌다. 시스코가 지난 5월 발표한 '2025 사이버보안 준비 지수'에 따르면, 국내 기업 중 3%만 위협을 방어하는 데 필요한 '성숙(Mature)' 단계의 준비 상태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조사에서도 4% 수준에 머물렀다. 매해 국내 산업계를 겨냥한 보안 위협이 발생하고 있는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이전 윤석열 정부에서는 보안 인재 양성과 인식 개선을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했지만, 업계에서는 실효성이 떨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표적으로 '사이버보안 10만 인재 양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있다. 국내 보안업게 관계자는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최상의 인재를 키우는 것이 중요하지, 숫자에 매몰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숫자는 (교육생을) 많이 받아서 배출시키면 채울 수 있지만, 실제 산업계 현장에서 활약할 인재가 나왔느냐는 물음표"라고 말했다. 이어 "양성된 인재가 실제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산업계 인식을 높이고, 네트워크·포렌식·웹3·블록체인·인공지능(AI) 등 각 영역에서 보안을 논할 수 있는 양질의 인력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기업 내부에서 보안 인력을 채용하더라도, 전사적으로 비용을 절감해야 할 때 보안 조직이 희생이 된다는 의견도 있다. 기업 보안 담당자는 "과거 전사적으로 희망퇴직이 실시될 때, 보안 인력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일이 발생했다"며 "최근 인력을 충원하고 있지만, 인재 풀이 부족해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정부는 대선후보 당시 ▲AI 시대, 국가 핵심 인프라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사이버보안 강화 ▲범정부 차원 사이버보안 대응체계 구축 ▲민관 협력을 통한 사이버보안 기술 및 산업 경쟁력 강화 ▲지역 및 중소기업 등 사이버보안 사각지대 해소 ▲피싱, 스미싱 등 디지털 민생안전 대응 강화를 공약 과제로 꼽았다. 다만 여기에는 추상적인 계획만 담겼을 뿐, 실제 인재 양성과 인식 개선에 대한 고민은 부재했다.
업계에서는 올해 SK텔레콤 해킹 사고와 예스24 랜섬웨어 공격 등 대형 보안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만큼, 새 정부가 이에 걸맞은 대책을 마련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KISIA는 정책 제안서를 통해 'AI 포 시큐리티(AI for Security)를 위한 산학 연계형 실전 보안 인재 양성'과 '초등생부터 C레벨까지 아우르는 정보보호 인력 생애주기 관리 플랫폼 구축'을 강조했다. 보안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R&D) 지원을 통해 2030년까지 글로벌 사이버보안 3위에 진입하자는 목표도 제시했다.
한편 보안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제14회 정보보호의날' 행사는 오는 7월9일 용산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역대 대통령 중 최초로 정보보호의날 기념식 행사장을 찾기도 했다. 새 정부 출범 첫해인 만큼, 올해에도 이재명 대통령을 비롯해 정부 핵심 관계자가 현장을 방문할지 지켜볼 부분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구글클라우드, 장애는 복구했지만…"원인은 글쎄"
2025-06-13 17:08:50썸네일 확 키웠다...넷플릭스CPO “개인화UI로 7억명 시청자 취향 정조준”
2025-06-13 13:31:27중국 네트워크 장비 기업 H3C, 한국 사업 확장 위해 신사옥 이전
2025-06-13 11:51:52“딥보이스 콕 잡는다” LGU+, 유튜브 팬페스트서 AI 체험존 운영
2025-06-13 10:15:32'팬덤 플랫폼' 디어유 '버블', 6월 입점 아티스트 확대
2025-06-13 19:51:46게임위 "5·18 역사 왜곡 콘텐츠 전 세계 스팀서 삭제"
2025-06-13 19:50:58"게임 질병코드 주장은 역사적 관성에 의한 것, 패러다임 전환 필요"
2025-06-13 18:55:42“플랫폼 입법, 새 정부 핵심 과제로 부상…규제·진흥의 균형 필요”
2025-06-13 17:26:51[현장] 투슬리스로 변신한 대형 스노우메이지, 롯데월드몰에 등장!
2025-06-13 17:10:09[DD퇴근길] 구글클라우드, 장애는 복구했지만…"원인은 글쎄"
2025-06-13 17:0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