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e비즈*솔루션

무하유, 논문·과제에 챗GPT 쓰였는지 찾아내는 기술 개발

[디지털데일리 서정윤 기자] 인공지능(AI) 기술 기업 무하유는 챗GPT가 쓴 문장을 찾아내는 'GPT킬러'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무하유는 지난 12년간 AI 기반 표절검사 서비스인 '카피킬러'를 운영하며 축적된 문서 데이터와 무하유만의 한국어 자연어 이해(NLU) 노하우를 접목시키며 디텍트GPT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오는 9월부터 카피킬러에 GPT킬러 기능을 추가 적용해 제출된 과제 및 논문에 챗GPT가 쓰였는지 찾을 수 있도록 서비스할 방침이다.

GPT킬러는 문장 속 단어와 어순의 관계를 추적해 맥락과 의미를 학습하는 AI 신경 모델인 트랜스포머를 기반으로 한다. 한국어 자연어 이해모델을 학습한 AI가 검사 문서를 문단 단위로 분할한 후 각 문단에 대한 챗GPT 작성 확률을 분석한다. 검출을 원하는 문단과 이전 맥락을 고려한 후, 입력된 값을 결과에 따라 참 또는 거짓 형태로 분류해 챗GPT 작성 여부를 판단하는 이진분류 방식이다.

무하유는 GPT킬러가 수식이 많은 실험 보고서나 프로그래밍 코드 등도 탐지 가능하도록 솔루션 적용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자기소개서와 같이 채용 과정에서 작성되는 문서에 대한 탐지도 가능하도록 기능을 고도화한 후, 자사 AI 서류 자동화 평가 서비스 '프리즘'에 해당 기능을 추가해 지원자의 진실성을 평가하는 결함검사 요소로도 활용할 예정이다.

신동호 무하유 대표는 "카피킬러로 쌓아 온 비즈니스 경쟁력과 시장 점유율을 활용해 GPT킬러를 생성 AI를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